앞에서는 부모 클래스의 모든 멤버가 상속되는 것으로 이야기하였지만, 사실은 상속시킬 멤버와 상속시키지 않을 멤버를 지정할 수 있다. private 멤버는 상속되지 않고, default/protected/private 멤버가 상속됨.
public | protected | default | private | |
---|---|---|---|---|
동일한 클래스 | O | O | O | O |
동일한 패키지 | O | O | O | X |
자식 클래스 | O | O | O | X |
다른 패키지 | O | X | X | X |
자식 클래스의 객체가 생성될 때, 자식 클래스의 생성자만 호출될까? 부모 클래스의 생성자도 호출되는가? 또 어떤 순서로 호출될까?
Class A {
A 생성자
}
Class B extends A {
B생성자
}
main {
B r = new B();
}
main에서 B 객체를 호출하면 생성자까지 호출됨. 자식 클래스 객체 안에는 부모 클래스에서 상속된 부분이 들어있다. 따라서 자식 클래스 안의 부모 클래스 부분을 초기화하기 위해 부모 클래스의 생성자도 호출되는 것.
생성자의 호출 순서는 부모 클래스의 생성자 -> 자식 클래스의 생성자 순이다. 부모 클래스에서 상속된 부분을 초기화하기 위해 부모 클래스의 생성자를 먼저 호출하고, 자식 클래스에서 추가된 부분을 초기화하기 위해 자식 클래스의 생성자가 실행됨.
명시적인 호출
자식 클래스의 생성자에서 명시적으로 부모 클래스의 생성자를 호출할 수 있다. 이때 super라는 키워드가 사용된다.
class A{
A생성자
}
class B extends A {
B 생성자
super();
}
==> super 부분에서 부모 클래스의 생성자가 명시적으로 호출됨
묵시적인 호출
자바에서는 명시적으로 부모 클래스의 생성자를 호출해주지 않아도 자식 클래스의 객체가 생성될 때 자동적으로 부모 클래스의 기본 생성자가 호출된다.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묵시적인 부모 클래스 생성자 호출을 사용하려면 부모 클래스에 기본 생성자(매개 변수가 없는 생성자)가 반드시 정의되어 있어야한다. 만약 기본 생성자가 정의되어 있지 않으면 오류가 발생한다.
public A(int x) {
blah blah
}
=> 매개 변수가 있는 생성자
public A() {
}
=> 매개 변수가 없는 생성자
부모 클래스의 생성자가 여러 개 정의되어 있는 경우에, 자식 클래스는 그 중의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class TwoDimPoint{
int x, y;
public TwoDimPoint(){
x=y=0;
}
public TwoDimPoint(){
this.x = x;
this.y = y;
}
}
이렇게 2개의 생성자가 정의되어 있는 경우에, super()와 super(x,y) 중에서 하나를 호출할 수 있다. super 인수의 형태에 따라 적절한 생성자가 선택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