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심시간에 도둑이 들어, 일부 학생이 체육복을 도난당했습니다. 다행히 여벌 체육복이 있는 학생이 이들에게 체육복을 빌려주려 합니다. 학생들의 번호는 체격 순으로 매겨져 있어, 바로 앞번호의 학생이나 바로 뒷번호의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4번 학생은 3번 학생이나 5번 학생에게만 체육복을 빌려줄 수 있습니다. 체육복이 없으면 수업을 들을 수 없기 때문에 체육복을 적절히 빌려 최대한 많은 학생이 체육수업을 들어야 합니다.
전체 학생의 수 n, 체육복을 도난당한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lost, 여벌의 체육복을 가져온 학생들의 번호가 담긴 배열 reserve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체육수업을 들을 수 있는 학생의 최댓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n | lost | reserve | return |
---|---|---|---|
5 | [2, 4] | [1, 3, 5] | 5 |
5 | [2, 4] | [3] | 4 |
3 | [3] | [1] | 2 |
부분적인 최적해가 전체적인 최적해가 되는 마법!
언제나 통하지는 않지만, 이런 방법이 통하는 문제들을 만나보세요. 라고 탐욕법을 설명한다.
추가적으로 탐욕법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찾아 봐야겠다.
접근 방식은 여벌의 체육복을 배분하고 났을 때 int[] lost의 크기를 전체 학생수에서 차감하는 방식을 생각했고 키값을 통해 빠르게 탐색 할 수 있는 해쉬맵을 사용해서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냥 HashMap을 사용했을 때 ConcurrentModificationException이 발생했기 때문에 해결하기 위해 ConcurrentHashMap를 사용했다.
ConcurrentModificationException은 현재 사용중인 자원에 수정이 이뤄질 때 발생한다. for loop을 돌리는 중에 반복의 기준이 되는 map을 수정해서 발생했다.
import java.util.concurrent.ConcurrentHashMap;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 int[] lost, int[] reserve) {
ConcurrentHashMap<Integer, Integer> lostMap = new ConcurrentHashMap<>();
ConcurrentHashMap<Integer, Integer> reserveMap = new ConcurrentHashMap<>();
for(int i = 0; i < lost.length; i++) lostMap.put(lost[i],0);
for(int i = 0; i < reserve.length; i++) reserveMap.put(reserve[i],0);
for(int num : reserveMap.keySet()){
if(lostMap.containsKey(num)){
lostMap.remove(num);
reserveMap.remove(num);
}
}
for(int num : reserveMap.keySet()){
if(lostMap.containsKey(num-1)){
lostMap.remove(num-1);
reserveMap.remove(num);
}
}
for(int num : reserveMap.keySet()){
if(lostMap.containsKey(num+1)){
lostMap.remove(num+1);
reserveMap.remove(num);
}
}
int answer = n-lostMap.size();
return answe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