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은 if
, else
,elif
콜론 뒤에 들여쓰기가 된 내용이, 그 함수 조건의 내용이 된다!(들여쓰기의 중요성⭐)
🔻elif
까지 더해보면~!
cf. elif
는 여러개 쓸 수 있다 ~
.
기본구조
변수명= [변수들] for 변수명' in 변수명: print(변수명')
변수명'은 윗 변수명과 동일해도 되고 aaa같은 아무거나여도 출력값에 영향이 없다
(결과 동일)
.
.예제. 사람의 나이 출력하기
🔻코드스니펫
people = [ {'name': 'bob', 'age': 20}, {'name': 'carry', 'age': 38}, {'name': 'john', 'age': 7}, {'name': 'smith', 'age': 17}, {'name': 'ben', 'age': 27}, {'name': 'bobby', 'age': 57}, {'name': 'red', 'age': 32}, {'name': 'queen', 'age': 25} ]
people이라는 리스트에 딕셔너리가 8개 있는 상태.
for person in people :
name=person['name']
age=person['age']
print(name,age)
이렇게 써주면
이렇게 나온다!
if를 사용해주면 된다
🔴주의할 점
if쓰고 :
빼먹지 말고! print도 if에 맞춰서 indent
해줘야한다 ~~!😊
이 예제처럼 리스트 쭉쭉쭉 돌면서 원하는 조건만 출력해 내는 게 전형적인 문제 패턴이라고 한다.
💠enumerate,break
출력 결과 앞에 0부터 숫자가 매겨진 것을 볼 수 있다
i
를 a
로 바꿔도 동일한 결과가 나왔다.
break로 자르기
🔻예제 혼자 풀어보다 잠시 {}, []가 헷갈려서 정리🔻
mydictionary = {} #빈 딕셔너리 생성 시 {}사용 mydictionary = {"mouse":3, "penguin":5}
mydictionary["mouse"] #key("mouse")에 대응하는 value(3)에 접근할 때 사용
mydictionary["cat"] = 1 #key("cat")에 대한 value(1) 생성
오늘의 아티클
주니어 데이터 사이언티스트에게 하고 싶은 말
[주제]
[아티클 요약]
위와 같은 질문에 대해 생각과 조사를 하고 인터뷰에 임하기.
[인사이트]
어떤 이야기를 해야할까,, 잘 모르겠었는데, 담임선생님이 면담을 잘 이끌어주셔서 40분이나 진행했다! 덕분에 본캠프 전에 궁금했던 것들을 많이 여쭤볼 수 있었고, 선생님의 경험 말씀도 많은 도움이 되었다. 비슷한 직무 분야를 희망하시는 분들과 좋은 인연을 맺고싶다. 지금 가장 큰 다짐은.. 중간에 많이 힘들더라도 포기하지말고 꼭 끝까지 수료해야지 😊
✍️ Q. 리스트에서 짝수만 출력하는 함수 만들기
접근방법- num_list = [1, 2, 3, 6, 3, 2, 4, 5, 6, 2, 4]
반복문 사용해서 출력
num_list = [1, 2, 3, 6, 3, 2, 4, 5, 6, 2, 4]
for num in num_list:
if num % 2 == 0:
print(num)
✍️ Q. 리스트에서 짝수의 개수를 출력하기
이 문제는! 모르겠어서 강의를 참고했다 ㅠ
접근방법- count=0 해놓고 반복문 써서 if조건 만족할 때마다 +1하기
num_list = [1, 2, 3, 6, 3, 2, 4, 5, 6, 2, 4]
count=0
for num in num_list:
if num%2==0:
count=count+1
print(count)
count=count+1 이거는 count+=1 로도 표현해줄 수 있다
✍️ Q. 리스트 안에 있는 모든 숫자 더하기
num_list = [1, 2, 3, 6, 3, 2, 4, 5, 6, 2, 4]
total=sum(num_list)
print(total)
내가 써본 코드인데, 답은 맞았으나 반복문 활용은 못했다.
반복문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sum=0으로 두고 반복문에서 sum에 num을 더해주는 방식으로 해야했다.🔻
num_list = [1, 2, 3, 6, 3, 2, 4, 5, 6, 2, 4]
sum=0
for num in num_list:
sum+=num
print(sum)
✍️ Q. 리스트 안에 있는 자연수 중 가장 큰 숫자 구하기
오잉..? 가장 큰 숫자..? 아 일단 써봄
num_list = [1, 2, 3, 6, 3, 2, 4, 5, 6, 2, 4]
num=0
for nn in num_list:
if num<nn:
num=nn
print(num)
강의 답변을 확인해보니, num대신 가장 큰 숫자를 의미하는 만큼 변수명을 max로 설정하는게 좋았을 것 같다!
뭔가..지금까지 해본 적 없는 알고리즘이라 아직 어색하다 ㅠ
함수란?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코드들에 이름을 붙여놓은 것
def bus_rate(age):
if age > 65:
print("무료로 이용하세요")
elif age > 20:
print("성인입니다.")
else:
print("청소년입니다")
bus_rate(27)
bus_rate(10)
bus_rate(72)
이렇게 조건문에 넣을 값을 바꿔가면서 결과를 확인할 때 쓰면 편하다!
def bus_fee(age):
if age > 65:
return 0
elif age > 20:
return 1200
else:
return 0
money = bus_fee(28)
print(money)
이렇게 return
을 사용해서 결과 값을 돌려주도록 함수를 만들 수도 있다!
코드스니펫_
def check_gender(pin):
print('')
my_pin = '200101-3012345'
check_gender(my_pin)
이걸가지고 도전
음.........머가 문제지.....
✅"2"라는 문자열을 숫자로 바꾸려면?
힌트참고->int("2") 이렇게, int로 감싸주세요!
이거군 !!!
int()
기능을 더 찾아보았다
파이썬 int() 함수는 어떤 기능을 하는 걸까요? 문자열을 비롯해서 소수점 숫자를 정수형으로 변환하는데 이용해요. 예를 들어, int('123') 은 문자열 '123'을 정수 123으로 변환하는 명령엉요. int(3.6)은 소수점 숫자 3.6을 정수 3으로 변환할 수 있고요.
int()
같은 걸 알고 있는 것도 중요하지만,
언제 써야하는지,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지가 더욱 중요한 것 같다. 아직 이 부분은 부족한 것 같은데, 틀린부분을 기록하고 앞으로 더 많은 문제를 경험해보면서 실력을 키워나가야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