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일과 요약
⏰ 월요일 (2/17일)
09:00 ~ 12:00 : 개강 OT 및 발제
12:00 ~ 14:00 : 팀원 확인 및 멤버카드 작성
14:00 ~ 19:00 : 팀 회의 및 직무 스터디
19:00 ~ 20:00 : 알고리즘 코드타카 및 정비 시간
20:00 ~ 21:00 : 1일차 TIL, 데일리스크럼 작성
pm이란?
정의
IT기업의 비개발 직군 중 하나로서,
새로운 상품에 대하여 그 기획에서부터 생산, 판매, 광고에 이르기까지 모든 책임을 지고 수행하는 전문 매니저 라고 정의됨.
역할
:하나의 프로덕트를 기획하고, 다른 부서와 협업해 실제로 프로덕트를 만들어내고, 더 많은 사람들에게 프로덕트를 알릴 수 있는 전략을 짜고, 고객들의 반응을 수집해 프로덕트를 더 보완하는 일을 한다.
.
🧐왜 하고싶어⁉
문제점/ 현재 상황 → 기획 → 결론/기대효과
에 대한 프로젝트&발표 경험이 많고 흥미를 느낌
그런데,
문제점/현재상황에 대해서 정량 데이터를 활용하고,
주체적/능동적으로 나의 목적에 맞게 가공하고 싶다는 생각이 점점 들게됨
이는, 기획안의 질을 향상시키고 기획의도와 방향성에 대한 일관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함. 또한 기획안 실행을 위해 디자인/개발자와 소통 및 협업을 하는 과정에서 큰 뿌듯함을 느낄 수 있을 것 같음
💭 앞으로,
단발적인 product, service기획이 아닌
연속적으로 데이터 생산과 활용을 할 수 있도록 Develope과정을 만들어갈 수 있는 사람으로 성장하고 싶음.
.
.
.
1.Data분석을 통한 [문제정의]
사용자는 어떤 문제를 갖고 있는지, 우리 서비스가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무엇인지 정의하는 것이 PM의 일의 첫 단계인 만큼, 문제를 파악하는 능력은 필수!
2.개발/디자인/데이터 직군에 대한 이해
기초적인 개발 지식은 필수. 우리 서비스에서 구현할 수 있는 기능은 어디까지인지, 우리 서비스는 어떻게 개발, 운영되고 있는지 파악해야 하기 때문. 디자인은 어떨까? 실제로 서비스를 구현할 때 어떻게 보여질지를 UX/UI 디자이너와 논의해야 하기 때문에 디자인에 대한 기본 지식 역시 필요함. 또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만큼, 데이터에 대한 지식까지 요구됨.
3.구현을 위한 [협업능력]
다양한 직군과 협업을 위해 소통할 수 있는 역량은 필수. 하나의 프로젝트를 위해 팀을 조율하는 리더십, 일정 관리 등 인적 능력 역시 필요함.
4.서비스[기획능력]
5.오너십에 대한 [책임감]
자격요건
• 도메인에 관계없이 모바일 제품에 깊은 이해도가 있으신 분이 필요해요. 금융 관련 제품 경험이나 백그라운드가 없어도 괜찮습니다.
• 애자일한 프로세스로 성과를 만들거나 실패한 경험이 있으신 분이 필요해요.
• 문제 해결을 위해 정의한 비전, 전략 및 미션부터 비즈니스 임팩트까지 연결되는 과정이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분이 필요해요.데이터 기반으로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Analytic Mindset이 필요해요.
• 어려운 미션, 도전적인 목표, 힘든 순간에도 에너지와 의지를 갖추고 임팩트를 만들어내고야 마는 분이면 좋아요.
• 고객의 입장에서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해본 경험이 있으면 좋아요.사업/제품 기획부터 조직 운영까지 스타트업의 A to Z를 다뤄보신 창업 경험이 있으면 좋아요.
[쿠팡] 데이터 분석 & 테스트 PM
담당업무
Data taxonomy 란?
우리가 구현하고자 하는 비즈니스 상황을 설명하는 언어를 → Data 분석 언어로 치환하는 과정 (데이터 명명법)
참고링크: https://brunch.co.kr/@jaechullee/5
필수역량
- 정량 분야 석사 또는 박사 학위
- 카탈로그 분야 경험
pm직무 특성상, 도메인 지식은 물론 경험과 경력이 중요하기 때문에 신입을 뽑는 공고가 만힝 없는 듯 하였습니다.
저는 해당 비즈니스에서 경력과 인사이트를 기를 수 있도록 관련 직무에도 관심이 많은 편입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채용 공고도 함께 조사하였습니다.
🔻넛지헬스케어(주) [캐시워크] 데이터분석 담당 채용전환형 인턴
업무 방식
PM이 하는 일 🧐
: 네카라쿠배의 채용공고에서 확인해본 PM의 일, 정리해보자면 이렇습니다.
사용자, 시장에 대한 정성적 · 정량적 이해
서비스 또는 프로덕트의 방향성 설계 및 운영
문제점에 대한 가설 수립 및 검증
💡대표예시_ 카카오톡 ‘생일인 친구’영역
이는 ‘지인의 생일을 깜빡 잊어버린 사용자의 니즈’를 해결하기 위해 기획됐을 겁니다. 친구 목록 중 어디에 어떻게 보여야 하는지에 대해서 디자이너와 소통하고, 어떻게 카카오톡 친구들의 생일자 데이터를 불러올지는 개발자와 협업했을 거예요. 출시 후, 이 기능이 불필요할 사람을 위해 접어둘 수 있도록 해두었죠.
그렇다면 서비스 기획자 · PM 직무의 일일 업무는 어떨까요? 매일매일 진행 상황을 공유하고, 유저 수, 마케팅 비용, 채널의 증감 추이를 보고하고, 다음 업무 계획을 세우고, 경쟁사를 리서치하는 것으로 흘러갑니다.
etc
.
.
.
select animal_id
from animal_ins
where name is not null
order by animal_id
SELECT name, datetime
from animal_ins
order by animal_id desc
SELECT count(distinct name) count
from animal_ins
where name is not null
SELECT animal_id, name
from animal_ins
order by animal_id
SELECT count(distinct animal_id) count
from animal_ins
❌겪었던 오류
SELECT name, count(name) cnt_name
from animal_ins
where cnt_name >= 2
group by name, cnt_name
🔴오류 원인
1.cnt_name은 집계함수라서 where절에 사용하지 못한다.
2.Having절을 사용해 불러올 것이라면, Having절은 order by보다 먼저 와야한다.
💡수정된 쿼리
SELECT name, count(name) cnt_name
from animal_ins
group by name
having count(name)>=2
order by name
SELECT animal_id, name
from animal_ins
where intake_condition='sick'
order by animal_id
.
.
09:00 ~ 10:00 : 알고리즘 코드카타
10:00 ~ 10:10 : 오전 데일리스크럼 작성
10:10 ~ 11:30 : 아티클 스터디
11:30 ~ 14:00 : 온라인 강의 학습 및 정비 시간
14:00 ~ 18:00 : 직무 스터디 회의 및 온라인 강의학습
18:00 ~ 20:20 : 온라인 강의 학습 및 정비 시간
20:20 ~ 21:00 : 오후 데일리스크럼 및 TIL 작성
오늘 첫 하루가 무난하게 끝났다. 팀스터디 난이도도 적절하고 앞으로 개인공부는 더 어려워지겠지만 그만큼 성장하는 2025년 상반기가 됐으면 좋겠다. 확실히 사전캠프와 중압감도 다른 것 같다.. ㅎㅎ
이젠 sql 쿼리에서 오류가 떠도 옛날만큼 스트레스 받지 않는다. 오히려 오류문을 읽고 어디서 오류가 난건지, 원인이 무엇인지 찾으려고 하는 것 같다. 이것도 성장이겠지! 내일은 더 기대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