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션 2] 스타터 노트 작성

김명서·2025년 1월 13일
0

TIL_sparta

목록 보기
2/60
post-thumbnail
  1. 내가 데이터 분석 트랙에 참여한 계기는 무엇인가요?

    경영학과 재학중으로 여러 마케팅 대외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습니다. 공모전 결과를 복기해보는 과정에서, 시장 분석이나 데이터 분석 역량의 부족함을 느꼈습니다.

    직전 학기에 수강한 '호텔관광경영통계원론' 수업에서 jamovi실습을 하며 통계 분석의 기초를 접했습니다. 다만, 전공 특성상 이미 가공된 데이터를 주로 다뤘기 때문에 raw 데이터를 직접 다루고 가공하는 경험(ex.파이썬을 활용한 데이터 전처리)을 쌓고 싶어 본 트랙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1. 내가 이해한 데이터 분석가(혹은 생각했던 직무)는 어떤 역할을 하는 사람인가요?

마치 '계절에 맞는 옷장정리'를 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옷장에는 온갖 계절의 옷이 섞여있지만, 그중 현재 계절에 필요한 옷만 골라내야 합니다. 또한 비슷한 옷끼리 분류하고, 자주입는 옷을 손 닿기 편리한 곳에 두어야하죠. 게다가 옷을 정리하며 이 옷이 유용한지, 유용하지 않다면 버려야할지 고민하기도 합니다.
상황에 따라 적합한 것을 선택하고, 필요 없는 것은 정리하는 과정은 정보나 데이터를 다룰 때와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데이터 분석가는 수집된 데이터에서 적절한 항목을, 적절한 분석 기법을 통해 유의미한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사람이라고 이해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비즈니스 의사결정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기업의 성과를 개선하거나 새로운 기회를 발견하는 역할을 합니다. 특히, 퍼포먼스 마케터나 프로덕트 매니저와 같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직무와 밀접하게 연결된다고 생각합니다.

  1. 데이터 분석을 경험해보셨나요? 해보셨다면 어떤 경험을 하셨는지를 작성해주시고,
    아니라면 데이터 분석에 대해 찾아본 것을 작성해주세요.

전공필수과목인 '통계원론'수업에서 jamovi실습을 하며,
통계와 확률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와 활용, 통계적 가설 검정 방법론을 배웠습니다.
'ott재구독의향'을 주제로 프로젝트 과제를 진행했습니다. 통신사 마케팅팀이라고 가정한 뒤, 조사결과를 토대로 맞춤형ott구독상품 및 요금제와 묶음상품을 기획했습니다. 설문지 작성부터 통계결과분석까지 하나로 이어진 큰 틀의 과제였습니다.
(과제자료페이지의 일부)
처음 직접 실시해본 통계조사라 수집과정에서부터 우여곡절이 많았고 이론을 배우면 배울수록 서투른 점도 많이 보였습니다. 따라서 심화된 데이터분석 공부를 꼭 해보아야겠다고 결심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학과가 관광과도 연관이 있다보니, 한국관광 데이터 랩에서 주최한 공모전 포스터를 본 적이 있었습니다. 당시, 데이터를 만질 수 있는 능력은 전무하였어서 한번보고 넘길 수 밖에 없었습니다. 나중에 수상작을 우연히 보게되었는데요, 수상작 모두 주최측에서 제공한 데이터자료를 통해 전처리를 하고 유의미한 결과를 뽑아내 시각화와 결론을 마무리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 때 '아 나도 데이터 분석 능력을 갖춘다면, 내 아이디어 또는 마케팅 전략제시에 큰 뒷받침을 할 수 있겠다.' '그저 작은 글씨로 빼곡했던 엑셀 파일을 깔끔하게 시각화 시키는 건 정말 멋진 능력이다.'라는 생각이 들었고, 데이터 분석 공부의 의지를 더욱 확고하게 만들어주었던 경험이었습니다.

  1. 데이터 분석가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에 있어 나의 강점과 연관된 부분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혹은 보완, 개선하고 싶은 개인 역량이 있나요 ?
    과거 혹은 현재의 업무와 연관 지어도 좋습니다. ‘능력’을 기준으로 고민해주세요.

강점:
-여러 대외활동을 통해 익힌 프레젠테이션 능력.
-수많은 팀플로 다져진 협업능력. (학과 특성상, 모든 과목에 팀플이 있었습니다.)
-설득력있는 결론 및 기획전략을 제시하는 능력.
-호텔/관광/hospitality 업계에 대한 전공지식과 풍부한 사례.
-프로젝트 자료 정리 및 최종본(ex.발표ppt)제작 능력.
-쉽게 포기하지 않는 끈기력과 성실함.

보완하고 싶은 점:
-데이터 전처리 능력.
-Python이나 R과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한 데이터 분석 기술.
-대규모 데이터셋을 다루고 시각화 해 본 경험.
-효과적으로 어필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 제작.

  1. 본 코스 수료 후, 어떤 데이터 분석가(혹은 생각했던 직무)로 성장하고 싶나요?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통해 기업의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퍼포먼스 마케터나 프로덕트 매니저로 성장하고 싶습니다.
특히, 데이터를 분석해 고객의 행동 패턴을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거나 제품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직무에서 일하고싶습니다.

  1. 본 코스 수료 후, 데이터 분석가(혹은 생각했던 직무)가 된 5년 후 목표로하는 점은 무엇인가요?

5년 후에는 성과를 증명할 수 있는 다수의 성공적인 프로젝트를 이끌어 본 경험을 가진 전문가가 되고 싶습니다.
또한, 데이터 분석 역량을 바탕으로 기업의 성장 뿐만 아니라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데 기여하고 싶습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를 활용해 '지역 경제 활성화'나 '관광산업 진흥', '액티브 시니어 일자리 창출 및 활성화' 같은 분야의 프로젝트를 진행해보고 싶습니다.

profile
경영학도의 데이터분석 성장기💥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