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서핑을 하다보면 가끔씩 상태 코드가 출력 될때가 있는데
오늘은 그 상태 코드들에 대해 정리해보았다.
먼저 크게 정리 해보면
100번대 (Informational - 정보성):
요청이 수신되었으며, 처리가 계속된다.
대개 웹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요청이 수신되었으며 처리가 진행 중임을 알린다.
200번대 (Success - 성공):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다.
요청이 올바르게 처리되었고 서버에서 요청된 작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다.
300번대 (Redirection - 리다이렉션):
요청을 완료하기 위해 추가 동작이 필요하다.
클라이언트는 추가 조치를 취해야 할 수도 있다. 주로 리다이렉션을 통해 새로운 위치로 이동하거나 리소스가 다른 곳으로 이동했음을 나타낸다.
400번대 (Client Error - 클라이언트 오류):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오류가 있다.
클라이언트 측에서 잘못된 요청을 보냈거나 요청이 유효하지 않을 때 발생한다.
500번대 (Server Error - 서버 오류):
서버가 유효한 요청을 처리하지 못했다.
서버 측에서 오류가 발생하여 요청을 처리할 수 없을 때 발생한다.
그리고 이중에 400번대와 500번대를 자세하게 살펴보면
400번대 (Client Error - 클라이언트 오류 (클라이언트 잘못!) ):
400 Bad Request:
서버가 요청을 이해하지 못할 경우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잘못된 구문 또는 잘못된 요청 형식으로 인해 발생한다.
401 Unauthorized:
클라이언트가 인증되지 않았거나 인증 정보가 부족할 때 발생한다.
보호된 리소스에 접근하려고 할 때 흔히 발생한다.
403 Forbidden:
클라이언트가 리소스에 액세스할 권한이 없을 때 발생한다.
인증되었지만 해당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 권한이 없는 경우 발생한다.
404 Not Found:
요청한 리소스를 서버에서 찾을 수 없을 때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오타나 삭제된 리소스에 대한 요청에 응답한다.
500번대 (Server Error - 서버 오류 (서버 잘못!) ):
500 Internal Server Error:
서버에서 처리 중에 오류가 발생했음을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서버 애플리케이션에서 예상치 못한 오류가 발생했을 때 발생한다.
502 Bad Gateway:
서버가 게이트웨이 또는 프록시 역할을 할 때,
이 서버로부터 잘못된 응답을 수신했을 때 발생한다.
503 Service Unavailable:
서버가 현재 요청을 처리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일시적으로 서비스가 중단되었거나 과부하로 인해 서버가 요청을 처리할 수 없을 때 발생한다.
504 Gateway Timeout:
서버가 게이트웨이 역할을 할 때, 요청이 너무 오래 걸려 응답이 없을 때 발생한다.
대개 프록시 서버가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연결을 시간 초과로 끊은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