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omic Pattern

김루루룽·2022년 5월 8일
0

React, Next.js

목록 보기
39/42

이 개발 방식은 사실 개발에만 적용되는 개념이 아니라 디자인에도 적용되는 설계 패턴이다.

말 그래도 작은 단위의 컴포넌트를 재사용성이 강하고, 단단하게 잘 설계함으로서 점진적으로 지속적으로 개발하기 용이하게 하는 방식이다.

웹 프론트 개발에 가장 많이 쓰이는 프레임워크인 Vue, React 모두 컴포넌트 단위로 개발을 진행하기 때문에 이러한 컴포넌트 중심 설계 패턴이 더욱 주목 받게 되었다.(Flutter 또한 마찬가지이다!)

그렇다면 각 컴포넌트의 역할은 무엇이고 구체적으로 어떤 부분에 집중해서 개발해야 할지 보도록 하자.

Atom

-#Generic #Abstract
-원자는 진짜 말그대로 가장 작은 단위의 컴포넌트이다.
-원자는 어떠한 context가 주어지든지 이에 해당하는 컴포넌트가 생성될 수 있어야 한다.
-때문에 다양한 state를 다양하게 가지고 있어야하며 추상적이지만 최대한 포용할 수 있게 되어야 설계 되어야 한다. Ex) button: disabled, hover, different sizes, etc.
-원자는 마진이나 위치값을 가지고 있지 않는다.

특징

  • 개발만 이렇게 진행되서는 안된다.(디자인도 이 원칙에 맞춰서 진행되어야 한다!)
  • 잘만 구현된다면 계속 가져다 쓸 수 있는 정말 좋은 Legacy Code가 생겨나게 된다!
  • 리액트를 사용한다면 스토리북을 함께 적용하게 되면 더 큰 효과를 낳을 수 있다.
  • 초기 개발 시간이 길지 모르기만 작은 단위의 Component를 잘 설계해놓으면 중장기적으로 개발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출처 https://zoomkoding.github.io

profile
1day 1push..plz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