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 세션 인증 방식을 통해 로그인 기능을 구현하는 경우 세션이 처리할 요청은 읽기보단 쓰기에 대한 요청이 많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트래픽이 증가해 로그인 요청에 대해서도 많은 사용자로부터 생성된다면 상대적으로 하나의 요청 처리 시간이 많이 소비되는 쓰기 요청을 보다 빠르게 처리하기 위한 방법을 구상해야 하는 요구사항이 도출되었습니다.
위 요구사항 해결를 위해서 도입해볼만한 플랫폼으로는 Redis와 Memcached가 있습니다. 두 플랫폼 모두 키-값 형태의 저장소를 제공해주며 In-Memory 방식으로 저장되어 저장 및 조회 속도가 매우 빠른 특징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두 플랫폼 모두 간단한 로그인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조회하기 위한 기능을 구현하는데 있어 매우 적합하다는 판단을 했고, 두 플랫폼의 트레이드 오프를 비교해 현재 프로젝트에 적합한 플랫폼을 결정해보기로 했습니다.
멀티 쓰레드를 통해 몰리는 트래픽에 대해 처리하는 경우, 성능 저하를 방지하는 능력이 좋습니다.
Memcached는 해시 형태의 자료구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O(1)의 성능을 내어 검색 시간이 매우 짧습니다.
Memcached는 작고 변하지 않는 정적인 데이터를 캐싱할 때 내부 메모리 관리가 Redis 만큼 복잡하지 않습니다. 때문에 Redis에 비해 능률적으로 이루어져 메모리 사용량이 낮습니다.
제공되는 API가 적은만큼 Spring 환경에서 활용하기 제한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많습니다.
HashMap말고도 다양한 종류의 자료구조(String, List, Set, Sorted sets)를 제공해 구현하고자 하는 기능의 목적과 특징에 맞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 복구 방식으로는 RDB와 AOF가 있는데,RDB는 현재 메모리 상태의 snapshot을 만들어 사용하며 AOF는 로그에 남긴 Write/Update 이벤트를 기반으로 복구합니다.
Relpication을 통해 서버 다운에 대한 위험을 줄이고 클러스터 기능도 지원해 서버 확장성이 뛰어나다고 볼 수 있습니다.
Spring에서도 Redis 관련된 여러 API를 제공해 조작성이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두 플랫폼에 대한 비교후 제가 선택학 플랫폼은 Redis입니다.
결국 두 플랫폼 모두 Hash 형태의 자료구조를 제공하기 때문에 검색 속도에 대한 차이는 크게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싱글 쓰레드로 동작하는 Redis에는 트래픽 과부하로 인해 성능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Replication과 Cluster 기능을 통해 이러한 단점을 해결할 수 있고 오히려 Scale Out을 하기 더 용이한 특징을 가진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Redis가 Memcached에 비해 더 다양한 자료구조를 제공하고 많은 API를 제공해줌으로써 직접 조작하기 더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어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백엔드 서버 개발자는 다양한 플랫폼을 접해보고 사용해 볼 수 있기 때문에 특정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활용해볼 플랫폼을 비교해보면서 더 적합하고 장점이 많은 플랫폼을 선정하는 것은 필수적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렇기에 이번 문제를 해결해보는 과정 속에서 트레이드 오프를 비교해보고 선정해보는 경험을 해볼 수 있었습니다.
https://aws.amazon.com/ko/elasticache/redis-vs-memcached/
https://americanopeople.tistory.com/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