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사이클

김수영·2021년 11월 20일
0

React

목록 보기
6/8
post-thumbnail

리액트 라이프 사이클이란?

리액트는 컴포넌트 기반의 View를 중심으로 한 라이브러리이다. 그러다보니 각각의 컴포넌트에는 라이프사이클 즉, 컴포넌트의 수명 주기가 존재한다. 컴포넌트의 수명은 보통 페이지에서 렌더링되기 전인 준비 과정에서 시작하여 페이지에서 사라질 때 끝이 난다.

라이프 사이클의 분류

라이프 사이클은 위 그림과 같이 총 9개가 존재한다.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 생성될 때,
  • 업데이트 될 때,
  • 제거할 때 이다.

이를 리액트에서는 마운트, 업데이트, 언마운트 라고 한다.

여기서 마운트는 DOM이 생성되고, 웹 브라우저 상에서 나타나는 것을 뜻하고, 반대로 언마운트는 DOM에서 제거되는 것을 뜻한다.

주의해서 볼 것은 업데이트 부분이다. 업데이트는 다음과 같은 4가지 상황에서 발생한다.

1.prop가 바뀔 때
2.state가 바뀔 때
3. 부모 컴포넌트가 리렌더링 될 때
4. this.forceUpdate로 강제로 렌더링을 트리거할 때

라이플 사이클 메서드 살펴보기

1.Constructor

자바 같은 언어에서 주로 보이는 constructor(생성자)이다. 자바와 마찬가지로 리액트에서 컴포넌트를 만들 때 처음으로 실행된다. 이 메서드에서는 초기 state를 정할 수 있다.

//class
class Example extends React.Component {
	constructor(props) {
      	super(props);
      	this.state = { count: 0 } ;
    }
}
  // Hooks
  const Example = () => {
    const [count,setCount] = useState(0);
  	}

클래스형에서는 초기 state를 정할 때 constructor를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훅에서는 useState hook을 사용하면 초기 상태를 쉽게 설정해줄 수 있다.

2.getDerivedStateFromProps

이 메서드는 리액트 16.3버전 이후에 생긴 메서드이다. prop로 받아 온 값을 state에 동기화시키는 용도로 사용하며, 컴포넌트가 마운트 될 때와 업데이트 될 때 호출된다.

//Class
class Example extends React.Component {
	static getDerivedStateFromProps(nextProps, prevState) {
      if (nextProps.value !== prevState.value) {
      return { value: nextProps.value}
      }
      return null
   }
}

3.shouldComponentUpdate

이 메서드는 props나 state를 변경했을 때, 리렌더링을 할지 말지 결정하는 메서드이다. 이 메서드에서는 반드시 true나 false를 반환해야 한다. 이 메서드는 오직 성능 최적화만을 위한 것이며 렌더링 목적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하게 된다면 버그로 이어질 수 있다.

//Class
class Example extends React.Component {
  shouldComponentUpdate(nextProps) {
    return nextProps.value !== this.props.value
  }
}

// Hooks
const Example = React.memo(() => {
},
(prevProps, nextProps) => {
  return nextProps.value === prevProps.value
}
                           
)

Hook에선 보통 props는 React.memo, state는 useMemo를 활용하면 렌더링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고 한다.

4.render

이는 가장 기초적인 메서드이면서 가장 중요한 메서드이다.
컴포넌트를 렌더링할 때 필요한 메서드로 유일한 필수 메서드이기도 하다. 함수형 컴포넌트에서는 render를 안 쓰고 컴포넌트를 렌더링할 수 있다.

// Class
class Example extends React.Component {
  render() {
    return <div>컴포넌트</div>
  }
}

// Hooks
const example = () => {
  return <div>컴포넌트</div>
}

5.getSnapShotBeforeUpdate

이 메서드는 render에서 만들어진 결과가 브라우저에 실제로 반영되기 직전에 호출된다. 이 메서드에 대한 사용 예는 흔하지 않지만, 채팅 화면처럼 스크롤 위치를 따로 처리하는 작업이 필요한 UI 등을 생각해볼 수 있다고 한다.

class Example extends React.Component {
  getSnapshotBeforeUpdate(prevProps, prevState) {
    if (prevProps.list.length < this.props.list.length) {
      const list = this.listRef.current
      return list.scrollHeight - list.scrollTop
    }
    return null
  }
}

함수형에서는 아직 이 기능을 대체할만한 hook이 없다고 한다.

6. componentDidMount

이 메서드는 컴포넌트를 만들고 첫 렌더링을 마친 후 실행한다. 함수형 Hook 에서는 useEffect를 활용하여 다음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 Class
class Example extends React.Component {
    componentDidMount() {
        ...
    }
}

// Hooks
const Example = () => {
    useEffect(() => {
        ...
    }, []);
}

여기서 useEffect의 []의존성 배열을 비워야지만 똑같은 메소드를 구현할 수 있다.

https://ko.reactjs.org/docs/hooks-effect.html

7.ComponentDidUpdate

이것은 리렌더링을 완료한 후 실행한다. 업데이트가 끝난 직후이므로, DOM관련 처리를 해도 무방하다.

// Class
class Example extends React.Component {
    componentDidUpdate(prevProps, prevState) {
        ...
    }
}

// Hooks
const Example = () => {
    useEffect(() => {
        ...
    });
}

8.ComponentWillUnmount

이 메서드는 컴포넌트를 DOM에서 제거할 때 실행한다. componentDidMount에서 등록한 이벤트가 있다면 여기서 제거 작업을 해야한다. 함수형 컴포넌트에서는 useEffect CleanUp 함수를 통해 해당 메서드를 구현할 수 있다.

// Class
class Example extends React.Component {
    coomponentWillUnmount() {
        ...
    }
}

// Hooks
const Example = () => {
    useEffect(() => {
        return () => {
            ...
        }
    }, []);
}

9.ComponentDidCatch

마지막으로 맨 위의 사진에는 보이지 않지만 componentDidCatch라는 메서드가 존재한다. 이 메서드는 컴포넌트 렌더링 도중에 에러가 발생 했을 때 애플리케이션이 멈추지 않고 오류 UI를 보여줄 수 있게 해준다.

// Class
class Example extends React.Component {
  componentDidCatch(error, info) {
    console.log('에러가 발생했습니다.')
  }
}
profile
기술과 인문학의 교차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