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IAS -> 코드의 가독성 -> SQL성능 향상dbms -> 옵티마이저 -> 최적화기 -> sql -> 가장 빠르게, 가장 저비용, 실행
ORDER BY 문법 SELECT문에서 가져온 데이터를 정렬하는데 사용한다. 업무처리상 매우 중요한 기능이다. > * ORDER BY 절에 들어온 순서대로 정수를 넣어도 된다.
SELECT DISTINCT 문법 SELECT시 DISTINCT를 사용하면 중복 값을 제외한 결과값이 출력된다. 즉 같은 결과의 행이라면 중복을 제거할 수 있다.
LIMIT 절 문법 특정 집합을 출력 시 출력하는 행의 수를 한정하는 역할을 한다. 부분 범위 처리시 사용된다. PostgreSQL 등에서 지원한다.
예시
IN 연산자 문법 특정 집합에서 특정 집합 혹은 리스트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연산자이다.
SELECT\*FROMTABLE_NAMEWHERE COLUMN_NAMENOT BETWEEN VALUE_A AND VALUE_B; 즉 COLUMN_NAME은 VALUE_A보다 작거나(혹은)VALUE_B보다는
SELECT\*FROM TABLENAMEWHERE COLUMN_NAMENOT LIKE '패턴(%..., ...)' \`\`\`특정 패턴에서 ‘%’는 어떤 문자 혹은 문자열이든지 매칭 되었다고 판단한다.특정 패턴에서 ‘\_’는 한 개의 문자가 어떤 문자이든지 매칭 되었다
SELECT\*FROM TABLE_NAMEWHERE COLUMN_NAMEIS NOT NULL; \`\`\`
조인의 종류 INNER 조인: 특정 컬럼을 기준으로 정확히 매칭된 집합을 출력한다.OUTER 조인: 특정 컬럼을 기준으로 매칭된 집합을 출력하지만 한쪽의 집합은 모두 출력하고 다른 한쪽의 집합은 매칭되는 컬럼의 값 만을 출력한다.SELF 조인: 동일한 테이블 끼리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