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free tier인데 IPv4 관련해서 과금이 되었다면? 해결책

김예찬·2024년 3월 4일
1

비상!!🚨 여러분의 AWS 프리티어에서 과금이 되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Amazon Virtual Private Cloud Public IPv4 Addresses
USD 3.48
$0.00 per In-use public IPv4 address per hour for EC2 Free Tier
696 Hrs USD 0.00
$0.005 per In-use public IPv4 address per hour
696 Hrs USD 3.48

aws IPv4 요금 부과 메일

AWS 프리티어 계정을 사용중인데 메일을 확인하는중에 사용요금이 부과되었다는 메일을 발견했다. 허허 프리티어 쓰는 사람에게 5000원은 소중하다.. 이게 무슨일인가!!

바로 AWS -> Billing and Cost Management에 접속하여 무슨 상황인지 확인해본결과
billing 이미지

$0.005 per In-use public IPv4 address per hour!

부분에서 과금이 되고 있었다!ㅜㅜ
이게 무슨 내용인가 찾아보니

<AWS IPv4 사용 요금 부과 공지>
https://aws.amazon.com/ko/blogs/korea/new-aws-public-ipv4-address-charge-public-ip-insights/

ipv4주소 부족에 따른 주소 취득 비용이 증가하여 24년 2월부터 요금을 부과하겠단다..
메일 확인안했으면 매달 요금이 빠져 나갈 뻔 했다..💸 (도둑넘들)

근데 위 billing을 보면 프리티어 EC2 서버에서 사용하는 ipv4는 요금 부과를 안하고 있었다. (프리티어 EC2 서버에서 사용하는 ipv4는 요금 부과 X)

흠...🤨
어떤 부분에서 ipv4를 사용하는지 확인해본 결과 RDS 에서 사용되고 있는걸 확인했다.
아마 이렇게 과금된 분들 대부분이 RDS일거라고 생각한다.


일단 급하게 찾은 해결책은

RDS의 public access를 비활성하여 ipv4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거다.

RDS 콘솔 > 데이터베이스 > 해당 데이터베이스 클릭 > 오른쪽 위 modify버튼

DB 인스턴스 수정에 들어가 연결 > 추가구성에서 퍼블릭 액세스를 불가능으로 바꾸어야 한다.
rds수정

위와 같이 connectivityadditional configuration에서
public access를 불가능으로 바꿔줘야한다.

일단 이렇게 하면 ipv4를 이용한 퍼블릭 엑세스가 막혀서 과금은 피해진다. 하지만 AWS 외부 네트워크에서 DB에 대한 접근이 불가능해진다.😅

다른 aws 서비스(같은 네트워크 망)에서 다이렉트로 rds와 통신하는것은 가능하다.

급한 불은 껐는데 퍼블릭 엑세스를 하는 방법에 대해 좀더 찾아보도록 하겠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