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10


웹 콘텐츠에서 사용하는 기술

HTML

  • 웹 페이지의 대부분은 HTML로 되어 있다.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은 웹 상에서 하이퍼텍스트를 보내기 위해서 개발된 언어이다.
    -> 하이퍼 텍스트 : 문서 시스템의 하나로, 뭇너 중에 임의의 장소의 정보가 다른 정보에 관련된 문서.
    -> 마크 업 언어 : 문서의 일부에 특별한 문자열을 붙임으로써, 문서를 수식하는 언어. HTML 태그라 부르고 있다.
    평소 웹 페이지의 대부분은 이 HTML으로 쓰여진 문서를 브라우저가 해석하여 렌더링 처리 한 결과이다.

  • 디자인을 적용하는 CSS
    CSS(Cascading Style Sheets)는 HTML 각 요소를 어떻게 표시할지를 지시하는 것으로 스타일 시트라고 불리는 사양중의 하나.


다이나믹 HTML

  • 웹 페이지를 동적으로 변경하는 다이나믹 HTML
    정적인 HTML 내용을 클라이언트 사이드 스크립트를 사용해서 동적으로 변경하는 기술을 말한다. 동적으로 바꾸고 싶은 HTML 요소를 지정하기 위해서 DOM이라는 구조를 사용한다.

  • HTML을 조작하기 쉽게 해주는 DOM
    DOM(Document Object Model)은 HTML 문서와 XML 문서를 위한 API이다.
    -> HTML내의 요소를 오브젝트로 다룰 수 있기 때문에 요소 내의 문자열을 추출하거나 CSS를 프로퍼티로서 변경해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다. JavaScript 등의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HTML을 쉽게 조작할 수 있다.


웹 애플리케이션

  • 웹을 사용해서 기능을 제공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웹 기능을 사용해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을 지칭한다. 프로그램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인 동적 콘텐츠에 해당한다.
    -> 동적 콘텐츠 : 본래 HTTP를 사용한 웹 구조는 사전에 준비된 콘텐츠를 클라이언트의 리퀘스트에 맞게 반환하는 것이다. 그러나 웹이 보급됨에 따라 이것만으로는 부족하여 프로그램이 HTML 등의 콘텐츠를 생성할 필요가 생기게 되었다. 이런 프로그램에 의해서 생성된 콘텐츠를 동적 콘텐츠라 부른다. <-> 정적 콘텐츠 : 사전에 준비된 콘텐츠

  • 웹 서버와 프로그램을 연계하는 CGI
    CGI(Common Gateway Interface)는 웹 서버가 클라이언트에서 받은 리퀘스트를 프로그램에 전달하기 위한 구조이다.
    CGI에 의해 프로그램은 리퀘스트 내용에 맞게 HTML을 생성하는 등으로 동적으로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Perl, PHP, Ruby, C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가 CGI프로그램에 사용된다.

  • Java에서 보급된 서블릿
    서버 상에 HTML 등의 동적 콘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가리킨다. CGI는 리퀘스트마다 프로그램을 기동하기 때문에 대량으로 액세스가 있을 때 웹 서버 부하가 걸리게 된다. 반면 서블릿에서는 웹 서버와 같은 프로세스 속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비교적 부하를 적게 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서블릿의 실행 환경을 컨테이너 혹은 서블릿 컨테이너라고 부른다.


데이터 송신에 이용된는 포맷이나 언어

  •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마크업 언어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목적에 맞게 확장 가능한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마크업 언어이다. XML을 사용함으로써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 공유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데이터를 기술하는 것에 특화되어 있다.
    HTML과 같이 태그를 사용한 트리 구조로 되어 있고 독자적으로 확장된 태그가 정의되어 있다. XML 문서에서 데이터를 빼내는 것은 HTML에 비해 간단하다.

  • 갱신 정보를 송신하는 RSS/Atom
    뉴스나 블로그의 기사 등의 갱신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문서 포맷의 총칭으로 둘 다 XML을 이용하고 있다.
    -> RSS에는 여러 버전이 있고 명칭이나 기술 방법도 서로 다르다
    -> Atom에는 두 가지의 사양이 있다.

  • JavaScript에서 이용하기 쉽고 가벼운 JSON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은 경량 데이터 기술 언어로서 오브젝트 표기법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다룰 수 있는 데이터형은 false/null/true/오브젝트/배열/수치/문자열 일곱가지 종류이다.

    JSON 데이터는 단순하고 가볍게, 또 문자열을 JavaScript에서 간단하게 읽어올 수 있다는 점에서 XML이 사용되던 Ajax에서 JSON을 널리 이용하게 되었다. 여러 프로그래밍 언어도 JSON을 쉽게 다루기 위한 라이브러리도 충실해졌다.

profile
공부중인 것들 기록

0개의 댓글

Powered by GraphCDN, the GraphQL CD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