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활용 능력 1급 필기

mainsain·2022년 3월 1일
0

자격증

목록 보기
2/5

21.08.01(일)~21.08.08(일) 공부 50시간쯤?

베이스

초딩컴퓨터교실 이후로 엑셀 만진 적 없다

생각해보니 이때도 파워포인트만 했지 엑셀 안했던 것 같은데

엑세스 살면서 공부할 때 처음들어봄

컴퓨터 조립 해본 적 없음

비전공자임

내가 한 방법

  • 노베이스 상태에서 일주일 뒤 시험 접수 먼저 했다.

  • 1단원 균쌤 요약강의(유튜브)보면서 제일 최신기출 답,해설켜놓고 비교하면서 아 이런게 있구나 하면서 개념뗌
    기출 : comcbt.com

  • 개념떼고 1단원만 2개년 답켜놓고 풀음
    2단원 3단원도 같은방식으로 각각

이렇게하니까 1단원 일 / 2단원 월화 / 3단원 수+0.5일 걸림 수요일 저녁엔 한 번 쭈욱 풀어봤다.

목 이제 실전이다 생각하고 안풀어본 기출들 중에 제일 최신꺼 풀어봄

농담아니라 각 단원 20~30점씩 맞았다.

멘탈 터져서 이대론 안되겠다 생각이 들었었다.

그 전까지 하루에 5시간? 좀 하면 6시간? 했는데 남은 3일동안 30시간넘게 공부 한 것 같다.

이거 떨어지면 죽는단 마인드로 했다.

그래도 2개년정도는 외우다시피해서 대충 뭐가 반복되는지, 어디가 어려운지, 내가 약한파트가 어딘지는 알았음

+1개년 추가해서 총 3개년 힘든파트 다 캡쳐하고 파트별로 분류한 뒤 헷갈리는 모든 선택지 메모장에 다 적었다. 목요일 지나고 금요일 저녁쯤 되었던 걸로 기억함..

내가 따로 캡쳐-정리하니까 머릿속에 빈 지식들이 채워지는 느낌을 받았다.

그 전까지 문제풀면서 스트레스 개받았는데 이 시점되니까 문제보면 선택지가 다 이해되는 경지에 이르렀음

시험전날에 새벽까지 기출돌림 계속 그냥 기출 무한반복 모르는거 있으면 메모장에 적고 그거 외우고 확실하게 외우면 지우고 반복

17년도거까지 공부했으니 4개년정도 공부했네

내가 노베이스로 돌아가면 선택했을 공부법

-균쌤 요약강의 안듣고 무지성으로 답키고 2개년 답만 외우고 밑에 해설 걍 눈으로 읽기

60문제 한큐에하면 무조건 힘들어서 지친다 꼭 파트별로 나눠서 하길바람..

1-2-3으로 하지말고 2-3-1 추천 2과목 함수파트는 강의들어도 괜찮을듯 도움받았다 이건

2-3-1 이유는 1과목은 단순 암기이기 때문에 초반에 외워버리면 나중에 까먹음
2는 시간을 제일 많이 갈아야 되고 여기에서 쓴 개념이 3에서도 사용한다.

강의가 나쁘다는게 아니고 시간이 오래걸리는게 문제인데 강의를 들어도 어차피 머리에 안들어온다.. 물론 공부했다는 느낌은 받을텐데 학습이 된 건지는 모르겠다.

이때 스트레스 엄청받는데 그냥 받아들이고 공부ㄱㄱ 모르는게 당연하고 나도 아무것도 이해 안됐었다.

진짜 그냥 받아들이고 공부해야됨

2회독하면 대충 뼈대 보일건데 거기에다가 살 채운다는 느낌으로 정리
답만 쏙쏙외우지말고 틀린답도 왜틀린지 다 체크

남은시간동안 기출 무한반복

요약

1.컴활 따겠다는 생각있으면 다음주 접수하고 바로 공부들어가는거 추천 오래잡을수록 지치고 왜 해야되나 현타올건데 그 기간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 빡빡하게 기간을 잡자.

2.책 진짜 살 필요없음 그 2만원으로 종합비타민 하나 사는게 더 나을 것 같음
물론 있으면 좋겠지만 음.. 아니 그냥 필요없으니까 사지말고 샀으면 당근으로 팔자..
아 유료강의는 있으면 도움은 될수도?? 근데 진짜 없어도 된다. 선택인듯

3.어차피 문제은행식이라 결국 기출 많이 보고 분석 꼼꼼하게 한 사람이 유리하다.
아 근데 이게 자리마다 문제가 다 다르고 난이도도 달라서 '자리빨'이 무조건 존재하는데
떨어져도 진짜 멘탈잡고 바로 다음 시험 신청하고 공부하자..
한번에 2개씩 잡아도 괜찮을 것 같다 정신적으로 안정이 된다는게 매우매우 크다

나는 씹 턱걸이로 통과해서 할 말은 없는데 떨어졌어도 그냥 받아들였을듯

시험볼 때 어려운거 많았고 기출에서 그래봐야 파트당 2~3개만 봤던거 그대로 보고 나머지는 처음보는 문제였다.

얼마나 준비하든 어느 시험을 보든 결국 마지막까지 가면 운의 요소가 작용하니까
그냥 받아들이고 멘탈을 꼭 잡자.

profile
새로운 자극을 주세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