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nt-face {
font-family: '';
src: url('../fonts/폰트명-Regular/Medium/SemiBold/Bold.폰트확장자) format(폰트확장자)';
font-weight: 400;
}
font-Regular -> font-weight: 400;
font-Medium -> font-weight: 500;
font-SemiBold -> font-weight: 600;
font-Bold -> font-weight: 700;
body{
font-family: 'Gilroy', 'NotoSansKR', sans-serif;
@import './fonts.css';
$(function(){}
은 한 페이지에 한개만 쓰면 됨.$(function(){
$(window).scroll(function(){
curr=$(this).scrollTop();
if(curr > 0){
$('#header').addClass('fix');
} else {
$('#header').removeClass('fix');
}
}
})
$(window).trigger('scroll')
filter: invert(1);
입력.parents{
transform: translateY(-50%);
}
.child{
trransform: translateY(-50%) rotate(180deg);
}
<section class="sc-xxx">
로 변경아래 캡쳐처럼 pagination-bullet-active의 background가 #fff 로 되어있고, 실제로 활성화된 탭이 흰색이 들어온게 맞는데, css코딩창에는 일반 bullet에 #fff으로, active에는 비워져있는데 이유가 같은 #fff지만, active안된거에는 opacity가 들어가있다고 하셨는데, 앞으로도 모든 pagination의 선택안된거에는 opacity가 들어간다고 생각하면되는건지
38:00 ~ header에서 a태그가 길어지는걸 대비해서 span으로 묶어두라고 하신거 뜻을 잘 모르겠음.
thumb로 이미지 묶는건 모든 이미지 다묶는건지, 특정한 이미지만 thumb로 묶는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