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표명 | 설명 | 계산식 / 예시 | 활용 |
---|---|---|---|
언급량 (Volume) | 키워드가 언급된 총 횟수 | 키워드 등장 횟수 합계 | 관심도 변화 확인 (출시 전/후 등) |
감성 분석 (Sentiment) | 긍정/부정/중립 감정 분류 | (긍정 or 부정 or 중립 수 ÷ 전체 수) × 100 | 반응 흐름 파악, 이슈 대응 |
도달률 (Reach) | 콘텐츠를 본 고유 사용자 수 | 고유 사용자 수 (중복 제거) | 광고 효과, 타겟 설정 기준 |
노출수 (Impressions) | 콘텐츠가 보여진 전체 횟수 | 총 노출 횟수 (중복 포함) 예: 1명이 5번 보면 5회 | 반복 노출 효과 분석 |
공유 수 (Shares) | 콘텐츠가 공유된 횟수 | 공유된 횟수 합계 | 콘텐츠 확산력 분석, 재활용 판단 |
반응 수 (Engagement) | 좋아요, 댓글, 공유, 클릭 수 합 | 좋아요 + 댓글 + 공유 + 클릭 | 관심도 및 효과 분석 |
반응률 (ER) | 도달 대비 반응 비율 (%) | (반응 수 ÷ 도달 수) × 100 | 콘텐츠 매력도 평가 |
해시태그 분석 | 자주 사용되거나 함께 쓰이는 해시태그 | 사용 빈도 = 등장 횟수 연관 해시태그 = 함께 등장 빈도 | 키워드 전략, 콘텐츠 태깅 |
버즈량 (Buzz) | 짧은 기간 언급량 급증 여부 | 오늘 언급 수 - 어제 언급 수 예: 10건 → 1,000건 | 위기 감지, 이슈 선점 |
채널별 비중 | SNS 채널별 언급 비율 | (채널 언급 수 ÷ 전체 언급 수) × 100 예: 트위터 2,000 / 3,500 = 57.1% | 집중 플랫폼 선정 |
TOP 키워드 / 연관어 | 주요 키워드와 함께 언급된 단어 | 함께 등장한 횟수 | 맥락 파악, 콘텐츠 기획 소재 확보 |
인스타그램 이벤트 분석
인사이트 및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