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3.11 Domain name mapping

김설영·2022년 3월 11일
0

생활코딩

목록 보기
8/8

내가 서버를 운영하지 않고, 남의 서비스를 이용 할 경우에 도메인 연결은 어떻게 할까?

도메인이 없을 때 서버의 이전을 할 경우, 기존의 이용자층을 모두 잃을 수 있다.
(기존 이용자들이 404 not found를 볼것임..!)

위와 같은 일 때문에,
남의 서비스(서버)를 이용하여 홈페이지를 운영하던 경우, 안전하게 서버를 이사 시키려면 "도메인"이 필수적이다.
도메인을 이용하면, 도메인을 새로운 주소의 서버로 옮기고, 기존의 서버(서비스)를 파괴하면 된다. 이러면 기존 이용자를 잃지 않을 수 있다.

GitHub -> html 올림 -> homepage처럼 사용 가능.
어떻게 도메인을 입힐 수 있을까?

이렇게, 도메인을 빌리고 있는 서버에 GitHub의 IP 주소를 A record로 입력하면됨. 그렇게 되면 client가 해당 domain에 대한 접속 요청 시, GitHub의 IP 주소를 알려주고, GitHub에 연결이 됨.

그리고, Github에는 dns4u.ga 라는 도메인에 대한 요청이 들어오면, 해당 요청은 https://web-n.github.io/web1_html_internet/ 으로 연결해달라고 해줘야 함! -> GitHub는 해당 컨텐츠를 client에게 응답함.


Client -> dns4u.ga 접속 요청 -> DNS server가 GitHub의 IP 주소(192.30.252.153)를 보내줌 -> Client가 GitHub에 접속 됨. -> GitHub는 해당 요청에 대해, 약속된 컨텐츠(홈페이지 등)를 client에게 응답해줌.

강의 사이사이 있던 keyword 메모

Domain의 형태 및 예시
apex domain : naver.com
www subdomain : www.naver.com

공부하면 좋을 Domain 관련 주제들

  • BIND :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에서 만듬. 세계 최초의 DNS server. (표준처럼 사용)
  • DNS 서버를 자신의 컴퓨터에 직접 설치해서 운영해보는 건 어떨까?
  • DNS service : 로컬 DNS server, 서버의 IP를 알려주는 DNS server...
  • 집에서 Server를 운영해보고 싶다면, "Dynamic DNS"를 운영해보자. (DDNS)
  • Web server를 운영하는 경우는, HTTPS, SSL(인증서)을 사용하세요!
profile
블로그 이동하였습니당! -> https://kimsy8979.tistory.com/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