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T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 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하여 해당 자원의 상태를 주고 받는 모든 것을 의미
HTTP URI 로 자원을 표현하고, HTTP 메소드로 자원에 대한 행위를 함!
Resourse : 자원 - HTTP URI
Verb : 자원에 대한 행위 - HTTP Method
Representations : 자원에 대한 행위의 내용 - HTTP Message Pay Load
Stateless : 상태정보를 따로 저장하지 않음.
Self-descriptiveness : REST API 메시지만 보고도 이를 쉽게 이해 할 수 있는 자체 표현 구조로 되어 있어 디버깅에 유리
Client - Server 구조 : 정보를 요청, 응답하는 부분이 따로 존재함.
GET : 정보 조회 / payload : x
POST : 정보 추가 / payload : o
PUT : 정보 수정(전체) / payload : o
PATCH : 정보 수정(일부) / payload : o
DELETE : 정보 삭제 / payload : x
2XX : 성공
3XX : 리다이렉션
4XX : 클라이언트(요청) 오류
5XX : 서버(응답) 오류
[참고] https://meetup.toast.com/posts/92
[참고] https://poiemaweb.com/js-rest-a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