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택 (stack)은 기본적인 자료구조 중 하나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자주 이용되는 개념이다. 스택은 자료를 넣는 (push) 입구와 자료를 뽑는 (pop) 입구가 같아 제일 나중에 들어간 자료가 제일 먼저 나오는 (LIFO, Last in First out) 특성을 가지고 있다.
1부터 n까지의 수를 스택에 넣었다가 뽑아 늘어놓음으로써, 하나의 수열을 만들 수 있다. 이때, 스택에 push하는 순서는 반드시 오름차순을 지키도록 한다고 하자. 임의의 수열이 주어졌을 때 스택을 이용해 그 수열을 만들 수 있는지 없는지, 있다면 어떤 순서로 push와 pop 연산을 수행해야 하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 이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첫 줄에 n (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수열을 이루는 1이상 n이하의 정수가 하나씩 순서대로 주어진다. 물론 같은 정수가 두 번 나오는 일은 없다.
입력된 수열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연산을 한 줄에 한 개씩 출력한다. push연산은 +로, pop 연산은 -로 표현하도록 한다. 불가능한 경우 NO를 출력한다.
8
4
3
6
8
7
5
2
1
+
+
+
+
-
-
+
+
-
+
+
-
-
-
-
-
5
1
2
5
3
4
NO
문제출력이 어떨때 NO인지 확인하는데 시간이 오래걸린 문제였다. (문제를 제대로 읽자(LIFO, Last in First out) 특성
아예 스택 써라고 적혀있다..)
예제를 따라가면서 1,2,3,4를 append 그다음 4,3를 pop을 해주는데 그다음 6을 만나면 5,6을 append 해줘야 하는 상황이라 오름차순으로 push 하는 스택의 idx를 알고 있는 변수가 필요했다.
q 리스트 와 num로 스택을 완성했는데, 바로 바로 print 찍어주려고 했지만, 불가능한 경우엔 NO를 출력해줘야 하기때문에 답을 출력하기 위한 result 리스트를 만들어서 집어 넣어 줬다.
마찬가지로 for~else문으로 break 문을 만나면 NO를 출력 아니라면 정답 출력을 하게 만들었다.
sep는 기본값이 ' '이므로 적당히 조작해주면 정답 출력을 위한 for 문을 줄일 수 있다.
N = int(input())
q = []
num = 0
result = []
for _ in range(N):
k = int(input())
if num < k:
while num < k:
num += 1
q.append(num)
result.append('+')
result.append('-')
q.pop()
else:
if q[-1] != k:
print('NO')
break
else:
result.append('-')
q.pop()
else:
print(*result, sep='\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