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오늘은 Codeup에 있는 [Python 기초 100제] 를 풀어 보았다.
앞으로도 [Python 기초 100제] 를 풀면서 내 [Github]에 커밋하고 velog에 풀이 과정이랑 내 생각에 대해서 써볼 생각이다.
(1일 1알고리즘 풀이.. 꾸준히 해보자!)
문제 📖
6001

6002

6003

6004

6005

6006

6007

6008

6009

6010

풀이 ✏️
6001
- print 함수를 안에 double quotation mark(쌍 따옴표)를 넣고, 그 안에 출력 값을 typing 해줘야할 것 같다.
6002
- typing 할 때, 띄어쓰기를 포함해서 typing을 해주었다.
6003
- print문 2개를 사용해서 문단을 나누어 주었다.
6004
- double quotation mark를 먼저 typing 하고, 그 다음으로 single quotation mark를 사용해 출력해 주었다.
6005
- 6004번에선 single quotation mark를 출력하기 위해서 double quotation mark를 사용했었다.
- 6005번에선 double quotation mark를 출력하기 위해서 single quotation mark를 먼저 typing 해주었다.
6006
- double quotation mark와 single quotation mark를 포함해서 특수문자를 출력해야 한다.
- quotation mark 앞에 backslash를 typing 해주었다.
6007
- backslash를 출력하기 위해서, backslash앞에 backslash를 typing 해주었다.
6008
6009
- input() 함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받은 입력값을 지정한 변수에 담고, 그 변수를 출력해 주었다.
6010
- int형으로 사용자로부터 받은 입력값을 캐스팅(casting) 해주고, 그 캐스팅 된 값을 출력해 주었다.
코드 💻
6001
print("Hello")
6002
print("Hello", "World")
6003
print("Hello")
print("World")
6004
print("'Hello'")
6005
print('"Hello World"')
6006
print("\"!@#$%^&*()\'")
6007
print("\"C:\\Download\\\'hello\'.py\"")
6008
print("print(\"Hello\\nWorld\")")
6009
a = input()
print(a)
6010
a = input()
a = int(a)
print(a)
결과 📋
6001

6002

6003

6004

6005

6006

6007

6008

6009

6010

느낀 점 💁
- python에서 casting을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
원하는 자료형을 앞에 typing 한 다음, 괄호를 열어 casting 할 대상을 인자 값으로 넣어주고 괄호를 닫아주면 되었다.
- C언어로 코드 100제를 한 적이 있다. 교내 플밍 교과 과정에 따라 수업을 통해 배운 내용은 100제를 무조건 풀었어야 했다. 100제에 나온 문제들이 교내 프로그래밍 대회에 출제 되기도 했었다. 2021년 교내 플밍 대회에서 장려상을 수상 받았었는데, 오는 2022년 교내 플밍 대회에서는 최우수상을 수상 받는 것이 목표이다.
- 필자('나')는 로봇 엔지니어가 되는 것이 현재 목표이다. 현직자가 말하는 걸 들었는데, 백엔드 엔지니어부터 시작하면 ML 엔지니어도 할 수 있다고 했다. 한마디로, 백엔드 엔지니어부터 시작하면 그쪽 영역에 비슷비슷한 직군으로 전직이나, 다시 돌아오는 것이 가능한 것 같다.
- 힘내자 !
출처 📝
https://codeup.kr/problemsetsol.php?psid=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