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up-Python] 6021 ~6030 (작성중)

Kinesis·2022년 3월 5일
0

🌱코드업 100제

목록 보기
3/3
post-thumbnail

서론

일주일 동안 codeup 문제를 풀고, 주말에 리포트(블로그)를 작성하여 효율적으로 관리를 해야할 필요를 느꼈다..

문제 📖

6021

6022

6023

6024

6025

6026

6027

6028

6029

6030

풀이 ✏️

6021

  • 변수 s 에 사용자로부터 입력값을 받는다.
  • 변수 s 에 저장 된 값 하나를 출력하고 문단을 나누고, 다시 하나를 출력하고 문단을 나누고.. 반복해주어야 한다.
  • print문 인자 값으로 s변수의 index 값을 참조로 하여 출력하게끔 해주었다.

6022

  • 년도, 월, 일을 공백으로 구분해 한 줄로 출력해 주어야 한다.
  • 년, 월, 일 6자리를 입력 받고, 입력 받은 값의 길이를 잘라 구분을 주며 공백을 포함하여 출력해야 한다.
  • 변수 s에 사용자로부터 입력값을 받고, print문에 s값의 index를 참조하여 출력하면 되는데, 이때 중요한 점은 구분할 문자의 길이를 지정해 주어야 한다.
    e.x) 123456 입력 -> 12 34 56 으로 잘라서 출력해야 함. 1과 2는 index 값이 각각 0, 1이기에 s[0:2] 를 print의 인자로 넣어 사용해 주면, s 변수에 있는 (index기준) 0번째 부터 1번째까지 출력이 된다. 3과 4, 5와 6도 위와 같은 방식을 사용하면 된다.

6023

  • 6022에서 배운 변수 값 자르기를 사용해서 본 6023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줄 알았다. 그야, 입력 값 중에서 필요한 부분만 추출해서 출력해야하는 것이 6022에서 사용한 변수에 저장된 값들 중 일정 길이의 값을 출력하면 되는 줄 알았다.

  • 이번 문제는 타인이 작성한 풀이를 참고하였다.

  • 생각해보면 단순한 풀이였다. 변수 3개에 각각 입력값을 받는데, split 함수를 사용해 ":" 을 구분으로 하여 입력값을 받는 것이였다.
    그리고, '분' 을 출력해야 하니 print 함수 안에 '분'의 값을 담은 변수 'm' 을 출력해주면 되는 문제였다.

  • 나는 왜 이 문제를 못 풀었는가? => 첫째, 배운 내용을 생각하지 않았던 것 같다. 문제집 특성상 바로 전에 사용한 개념을 가지고 문제를 푸는 것으로 나 혼자 생각했다.

  • 처음에 내가 생각한 알고리즘으로 본 문제를 풀게 되면, 입력값이 5자리일 때, 콜론도 함께 출력 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오답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문제는 변수의 길이를 구분하여 출력하는 문제가 아닌, 변수와 구분 기호(split함수) 를 사용하여 구분한 뒤, 원하는 변수를 출력하면 되는 문제였다.

6025

6026

6027

6028

6029

6030

코드 💻

6021

s = input()
print(s[0])
print(s[1])
print(s[2])
print(s[3])
print(s[4])

6022

s = input()
print(s[0:2], s[2:4], s[4:6])

6023

h, m, s = input().split(":")
print(m)

6024

6025

6026

6027

6028

6029

6030

결과 📋

6021 ~ 6030

느낀 점 💁.

출처 📝

https://codeup.kr/problemsetsol.php?psid=33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