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일 동안 codeup 문제를 풀고, 주말에 리포트(블로그)를 작성하여 효율적으로 관리를 해야할 필요를 느꼈다..
6022에서 배운 변수 값 자르기를 사용해서 본 6023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줄 알았다. 그야, 입력 값 중에서 필요한 부분만 추출해서 출력해야하는 것이 6022에서 사용한 변수에 저장된 값들 중 일정 길이의 값을 출력하면 되는 줄 알았다.
이번 문제는 타인이 작성한 풀이를 참고하였다.
생각해보면 단순한 풀이였다. 변수 3개에 각각 입력값을 받는데, split 함수를 사용해 ":" 을 구분으로 하여 입력값을 받는 것이였다.
그리고, '분' 을 출력해야 하니 print 함수 안에 '분'의 값을 담은 변수 'm' 을 출력해주면 되는 문제였다.
나는 왜 이 문제를 못 풀었는가? => 첫째, 배운 내용을 생각하지 않았던 것 같다. 문제집 특성상 바로 전에 사용한 개념을 가지고 문제를 푸는 것으로 나 혼자 생각했다.
처음에 내가 생각한 알고리즘으로 본 문제를 풀게 되면, 입력값이 5자리일 때, 콜론도 함께 출력 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오답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문제는 변수의 길이를 구분하여 출력하는 문제가 아닌, 변수와 구분 기호(split함수) 를 사용하여 구분한 뒤, 원하는 변수를 출력하면 되는 문제였다.
s = input()
print(s[0])
print(s[1])
print(s[2])
print(s[3])
print(s[4])
s = input()
print(s[0:2], s[2:4], s[4:6])
h, m, s = input().split(":")
prin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