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roller, DTO 그리고 DI

Pien·2023년 1월 6일
2

NestJS

목록 보기
2/8
post-thumbnail

Nest.js에서 컨트롤러는 클라이언트에서 들어오는 요청을 처리하고, 클라이언트에 맞는 값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Controller

@Controller('community')
export class CommunityController {
	constructor(private readonly communityService: CommunityService) {}

	@Get()
	getPosts(@Query() pageNation: QueryDto): Promise<PostListDto> {
		return this.communityService.getPosts(pageNation);
	}

	@Get(':postId')
	getPostDetail(@Param('postId') postId: number): Promise<PostDetailDto> {
		return this.communityService.getPostDetail(postId);
	}

	@Post()
	createPost(@Body() createPostDto: CreatePostDto): Promise<Posts> {
		return this.communityService.createPost(createPostDto);
	}

	@Patch(':postId')
	updatePost(@Param('postId') postId: number,
	@Body() updatePostDto: UpdatePostDto): Promise<void> {
		return this.communityService.updatePost(postId, updatePostDto);
	}

	@Delete(':postId')
	removePost(@Param('postId') postId: number): Promise<void> {
		return this.communityService.removePost(postId);
	}
}

컨트롤러의 기본적인 CRUD 형태이다. Express를 기준으로 보면 라우트와 컨트롤러를 합쳐놓은 듯한 모습을 볼 수 있다.
기능별 인스턴스 상단에 REST 메서드가 적혀있는 데코레이터를 볼 수 있는데, 해당 메서드와 엔드포인트가 입력 될 경우 해당 인스턴스가 실행된다.

GET localhost:3000/community 을 요청 할 경우 GetPosts 인스턴스가 실행되고 GET localhost:3000/community/1 을 요청 할 경우 GetPostDetail 인스턴스가 실행된다.

Express서버의 경우 클라이언트에서 전달한 값은 모두 req에 담기고 req.body 와 같이 객체에 접근해 원하는 값을 사용 했다. Nest에서도 해당 방법을 통해 요청값에 접근 할 수 있지만, 권장하지 않는다.

DecoratorExpress설명
@Req()req요청 값
@Res()res반환 값
@Param()req.paramsparam 파라미터 값
@Query()req.queryquery 파라미터 값
@Body()req.bodyBody 요청 값
@Headersreq.headersHeader 요청 값

필요한 데코레이터를 사용 한 뒤 인자로 요청 값을 추가하고, 해당 데코레이터 우측에 요청값과 타입을 지정해 주면 해당 매개 변수에 요청 값이 할당 된다.
@Get(':postId')@Param('postId') 을 사용한 경우, GET localhost:3000/community/3 요청 했을 때 postId의 값으로 3이 할당 된다.
쿼리나 바디의 경우 필요한 요청 값이 보통 둘 이상이다. 여러개의 값을 요청 받을 경우, 값 마다 데코레이터를 계속 입력해 줘야 한다. 이는 가독성도 좋지 않고, 해당 값에 내가 원하지 않는 값이 들어오는 경우가 생긴다.
이 때 사용하는 것이 DTO이다. DTO는 요청 값을 유효성을 점검하고 검증하는 역할을 한다.

DTO (Data Transfer Object)

DTO(Data Transfer Object)는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용한다. 내가 설정하지 않은 값이 들어오거나, 설정하지 않은 타입의 값이 들어올 경우, 에러를 발생 시킨다.

유효성 검증을 위해 class-validatorclass-transformer 를 설치 해 준다.
그 후 main.ts를 아래와 같이 수정해 준다.

async function bootstrap() {
	const app = await NestFactory.create(AppModule);
	app.useGlobalPipes( new ValidationPipe({
		whitelist: true, // DTO에 작성한 값만 수신
		forbidNonWhitelisted: true, // DTO에 작성된 필수값이 수신되지 않을 경우 에러
		transform: true, // DTO의 타입을 변환
		}),
	);
	await app.listen(3000);
}
bootstrap();

Pipe

Nest에서 Pipe는 데이터 타입의 변환 혹은 값의 유효성 검증을 해주는 역할을 한다.

Pipe는 요청값이 컨트롤러로 도달하기 전 지나가는 곳이다. Pipe의 종류는 9가지 있으며 오늘 사용할 Pipe는 유효성 검증 Pipe다.
app.useGlobalPipes 는 Express로 비유하자면 상시 작동하는 미들웨어다. 모든 요청값은 해당 Pipe를 지나야 컨트롤러에 도달 할 수 있다.
ValidationPipe 는 유효성을 검증하는 Pipe다 class-validator, class-transformer 사전에 설치한 두개의 패키지를 이용해 요청 값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내가 원하는 경우 타입의 변경을 시켜준다.

@Param() 이나 @Query() 데코레이터를 사용해 number 값을 받을 경우, 해당 값은 string값으로 할당 된다. 이럴 때 transform을 true 로 설정 한 뒤, 컨트롤러에서 변환을 원하는 값의 타입을 number로 지정하면 해당 값은 number로 들어오게 된다.

DTO 예제

export class CreatePostDto {
	@IsString()
	@IsNotEmpty()
	private readonly title: string;

	@IsString()
	@IsNotEmpty()
	private readonly description: string;
}

export class QueryDto {
	@IsNumber()
	@IsOptional()
	private readonly page: number = 1;

	@IsNumber()
	@IsOptional()
	private readonly number: number = 10;

	@IsString()
	@IsOptional()
	private readonly title: string = '';
}

@IsString() , @IsNotEmpty() 와 같은 데코레이터를 사용해 유효성을 점검 할 수 있다. @IsNotEmpty()은 필수 값인 경우, @IsOptional()은 옵션 값인 경우, 옵션 값은 값이 할당되지 않았을 때 기본 값을 지정해 줄 수도 있다.

자주 사용하는 검증 데코레이터

Decorator설명
@IsString()문자열 검증
@IsInt()Int값 검증
@IsBoolean()Boolean값 검증
@IsEmail()이메일 형식 검증
@IsArray()배열 값 검증
@IsEnum()Enum값 검증
@IsNumber()숫자값 검증
@IsDate()날짜 값 검증
@IsOptional()해당 값을 옵션으로 할당
@MaxLength()최대 길이 제한
@MinLength()최소 길이 제한
@Length()길이 제한
@Matches()정규표현식 검증
@Min()최솟값
@Max()최댓값

이 외에도 수 많은 데코레이터가 존재하니 공식문서를 참고 하자!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

의존(Dependency)란?

A의 의존대상 B가 변하면 A가 영향을 받는다.
하나의 인스턴스가 다른 인스턴스를 의존할 경우, 인스턴스의 이름이 변경되거나 기능이 변경될 경우, 의존대상의 코드를 수정해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

의존성 주입이란?

클래스 외부에서 객체를 생성하여 해당 객체를 클래스 내부에 주입하는 것이다.
의존성 주입은 클래스간의 결합도를 느슨하게 만들어 준다. 결합도가 느슨하다는 것은 하나의 클래스가 변경 되었을 때 연결되어 있는 다른 클래스를 변경할 필요성이 적어진다는 뜻이다.

의존성 주입의 장점

의존성이 줄어든다

의존하고 있다는것은 의존대상이 변화에 따라 현재의 코드를 수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의존성 주입을 사용하면 현재의 코드를 수정하지 않아도 되거나, 수정할 코드가 줄어들게 된다.

재사용의 용이성

기능을 별도로 구분하여 구현하기 때문에 인스턴스의 재사용이 원할하다.

유닛 테스트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지면 테스트코드는 필수적이다. 의존성 주입을 위해 분리한 기능별로 테스트가 용이하다.

가독성

분리된 기능들을 재사용해서 사용해 전체적인 가독성이 증가되고 흐름을 보기에 용이 해진다.

코드 예제

export class CommunityController {
	constructor(private readonly communityService: CommunityService) {}

	@Get()
	getPosts(@Query() pageNation: QueryDto): Promise<PostListDto> {
		return this.communityService.getPosts(pageNation);
	}
}

@Injectable()
export class CommunityService {
	getPosts(pageNation: QueryDto):{ .... }
}

constructor(private readonly communityService: CommunityService) {} 해당 코드가 현재 컨트롤러단에서 서비스단의 의존성을 주입하는 코드다.
서비스단을 생성자함수로 생성해 컨트롤러단에 주입 함으로써 컨트롤러단에서 서비스단의 인스턴스를 불러와 실행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의존성을 주입하고자 하는 원본 클래스에는 @Injectable() 데코레이터가 필요하다.

요약

Nest의 컨트롤러는 Express의 라우트와 컨트롤러를 합쳐놓은 모습이고, 각종 데코레이터를 이용해 값을 전달 받거나 Http 메서드를 조절 가능하다.

DTO와 Pipe를 사용하면 입력값의 유효성 검증, 기본값, 타입 변경등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Nest는 강력한 의존성 주입을 통해 이뤄져 있다. 의존성 주입의 개념을 확실히 하고 넘어가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