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애플 리액트 기초 : 블로그 프로젝트 만들기를 보며 공부한 것을 정리하였습니다.
onClick={클릭될 때 실행할 함수} 또는 onClick={ ()=>{실행할 내용} }
예를 들어, ❤를 클릭했을 때에 콘솔에 5를 출력하고자 한다면 onClick={ ()=>{ console.log(5) } }라고 할 수 있다.

onClick={ ()=>{ 하트 + 1 }라고 하면 작동이 되지 않는다. 변경하려면 하트변경 함수를 활용해야 한다. 하트변경(대체할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는데 1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onClick={ ()=>{ 하트변경(하트 + 1) }로 코딩한다. 또한 이렇게 코딩해야 재렌더링을 통해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Button을 하나 만들었다.

var newList = 글제목이라고 하면 값을 공유하는 것이다. 제대로 복사를 하려면 var newList = [...글제목]의 형식으로 코드를 작성해야 한다.
즉, 기존 state의 복사본을 만들고, 복사본에 수정사항을 반영한 후에 변경함수()에 넣어 코딩한다.Modal UI의 디자인

div 태그들처럼 HTML의 태그들이 복잡하게 있으니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Component 문법을 사용할 수 있다.
Component 만들기
함수를 만들어 이름을 지어주고, 그 안에 HTML을 넣는다. 그리고 해당 HTML을 넣어줄 위치에 <함수명 /> 또는 <함수명></함수명>으로 사용한다.

주의사항) Component의 이름은 대문자로 시작하도록 만들고, return() 안에태그 하나로 묶어서 사용한다. <></>를 사용해서 HTML들을 묶어줄 수 있다. 또한 Component는 function App()과 같은 선상에서 만들어 주면 된다.
Component 사용 하는 경우
그러나 Component를 많이 만들면 state를 쓸 때 복잡해진다. 왜냐하면 상위 component에서 만든 state를 마음대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props 문법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