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e Socket Layer로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한 암호화 통신 프로토콜입니다. SSL은 Presentation Layer에 있습니다.
Word Wide Web이라 하는 www환경에서 빠르고 간편하게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입니다. HTML 문서를 주고 받을때 사용되며, 서버는 80번 포트를 사용하고 클라이언트는 TCP를 사용해 연결을 설정합니다.
HTTP 프로토콜로부터 웹 정보를 얻으려면 'http://주소'의 형식으로 접근하며, Application layer의 다른 프로토콜 방식으로 접근하려면 'telnet://주소' 'ftp://주소'형식으로 접근 할 수 있습니다.
• 200 (OK)요청 성공적으로 수행
• 202 (Accepted)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수신했으나 즉각 실행되지 않고 있다.
• 400 (Bad Request)요청 메시지에 문법 오류가 존재
• 401 (Unquthorizatized)권한 없음
• 403 (Forbidden)서비스 거부
• 404 (Not Found) 원하는 문서를 찾을 수 없음
• 500 (Internal server Error)
• GET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URL에 해당하는 내용을 전송하도록 요구
• HEAD
• 문서 내용이 아닌 문서에 대한 정보
• POST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사용자 입력 정보 전송)
• PUT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문서 전달
거리에 따른 데이터 전송방식을 분류하게되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방식으로 나뉘며, LAN < MAN < WAN 순으로 규모가 커짐에 따라 전송방식이 달라집니다.
방법에 따른 분류는 Point to Point와 Broadcast방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point to point는 점대점 방식으로 호스트 간 일대일로 연결하며, 각 호스트는 데이터를 송 수신하는 호스트이거나, 중간에 있는 라우터가 됩니다. Broadcast방식은 공유 전송 매체 하나에 여러 호스트를 연결하며, 자신을 목적지로 하지 않은 데이터를 받은 호스트는 받은 데이터를 버립니다. 이에 결국 하나의 수신 호스트만 데이터를 받게되는 방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