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6 log

강지훈·2025년 4월 26일
0

매1매1

목록 보기
1/4

개발을 하다보니... 갑자기 문득 의문이 들었다

postman 을 사용해서 어떻게 로컬서버와 통신할수 있는지

그냥 막상 다들 이렇게 하니까 따라서 썻는데

원리가 문득 궁금해졌다

그래서 바로 챗지피티한테 질문했다.

답변은

서버가 특정 포트에서 리스팅중(현재 내 프로젝트는 fastapi)
이고 포스트맨은 Ip+포트+경로로 HTTP 요청을 보낸다

1.localhost:8000에서 fastapi서버를 실행 -> 이건 8000번 포트에서 들어오는 요청을 듣고 있겠다라는 뜻

2.postman에서 요청
url: http://localhost:8000/users/all
-> postman은 이 url로 http 요청을 만들어서 네 컴퓨터 8000번 포트로 요청을 보냄

3.운영체제 -> 운영체제가 이 요청을 보고 8000번 포트를 리슨 중인 프로글램(fastAPI) 확인후 -> 요청을 그 프로그램으로 전달해 줌

  1. 서버가 응답 -> fastapi 서버가 /users/all 에 대한 로직을 실행해서 응답을 생성하고 postman에 돌려줌

서버가 listening 중이 아니라면
-> connection refused 같은 에러를 받게 된다함

추가로 확인해 보면 좋은 것들
1. postman에서 보내는 요청 url이 맞는지
2. 서버가 실제로 켜져있고, 해당 포트를 리슨 중인지?
3. 방화벽이나 네트워크 제한 없는지

이후 공부해야할 것
1. 로컬서버 vs 원격서버
2. 포트포워딩
3. Docker 컨테이너 등등.

공부하기 정말 좋은 시기에 공부하는것 같다.!

profile
never stop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