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stream"과 "downstream"

KKH_94·2023년 8월 30일
0

Reactive_Programming

목록 보기
8/18

리액티브 프로그래밍에서 "upstream"과 "downstream"은 데이터 흐름을 설명하는 개념입니다. 이러한 개념은 주로 데이터 스트림이나 이벤트 시스템과 관련이 있습니다.

Upstream

"Upstream"은 데이터 흐름의 시작점을 나타냅니다. 데이터가 이벤트나 스트림의 형태로 생성되거나 발생하는 곳을 의미합니다. Upstream에서 데이터가 생성되고 다른 부분으로 전달되어 처리됩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의 생산자가 Upstream에 해당합니다. 이 데이터는 후속 처리나 변형을 위해 Downstream으로 전달됩니다.

Downstream

"Downstream"은 데이터 흐름의 종착점이며, Upstream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받아 처리하거나 변형하는 부분을 나타냅니다.

Upstream에서 생성된 데이터는 Downstream으로 전달되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업데이트, 데이터베이스 저장, 계산 등과 같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Do

wnstream은 주로 데이터의 소비자 또는 처리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Upstream과 Downstream 개념은 주로 리액티브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에서 사용됩니다. 리액티브 프로그래밍은 비동기적인 데이터 스트림을 다루는 패러다임으로, 데이터의 변경을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프로그래밍을 수행합니다. 이러한 패러다임은 이벤트 기반 시스템, GUI 업데이트, 센서 데이터 처리 등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물류 시스템의 예를 통해 리액티브 프로그래밍에서의 Upstream과 Downstream을 이해해 보겠습니다.

상상해보세요, 한 물류 회사가 상품을 생산하고 배송하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 시스템은 리액티브 프로그래밍의 개념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Upstream (상품 생산 및 이벤트 발생)

Upstream은 상품이 생산되는 단계입니다. 공장에서 상품이 생산되면 이는 Upstream 데이터로 간주됩니다.

생산된 각 상품은 Upstream에서 데이터 스트림으로 생성됩니다. 각 상품은 상품 ID, 종류, 수량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생산된 상품은 물류 시스템의 Downstream으로 전달됩니다.

Downstream (배송 및 처리)

Downstream은 생산된 상품을 받아 처리하고 배송하는 단계입니다.

생산된 상품 데이터는 Downstream으로 흐르게 됩니다. Downstream에서는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품을 창고에 보관하거나 특정 주문에 따라 포장하고 배송할 수 있습니다.

주문이 발생하면 이 역시 Downstream 데이터로 간주됩니다. 주문 정보는 생산된 상품에 대한 수요를 나타내며, 이 정보를 기반으로 상품을 배송합니다.

배송이 완료되면, 배송 완료 이벤트 역시 Downstream에서 생성되어 해당 정보를 처리하고 최종 사용자나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습니다.

이 예제에서 "Upstream"은 상품의 생산과 생성된 데이터를 나타내며, "Downstream"은 상품의 처리와 배송을 의미합니다. Upstream에서 생성된 상품 정보가 Downstream으로 전달되어 처리되고, 필요한 작업이 수행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 흐름은 비동기적이고 이벤트 중심으로 진행되며, 리액티브 프로그래밍의 개념이 적용되는 예시입니다.

profile
_serendipity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