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발을 할 때 가장 많이 발생하는 예외 중 하나가 바로 NPE(NullPointerException)이다.
NPE를 피하려면 null 여부를 검사해야 하는데, null 검사를 해야하는 변수가 많은 경우 코드가 복잡해지고 번거롭다. 그래서 null 대신 초기값을 사용하길 권장하기도 한다.
List<String> names = getNames();
names.sort(); // names가 null이라면 NPE가 발생함
List<String> names = getNames();
// NPE를 방지하기 위해 null 검사를 해야함
if(names != null){
names.sort();
}
Java8에서는 Optional<T> 클래스를 사용해 NPE를 방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Optional<T>는 null이 올 수 있는 값을 감싸는 Wrapper 클래스로, 참조하더라도 NPE가 발생하지 않도록 도와준다. Optional 클래스는 아래와 같은 value에 값을 저장하기 때문에 값이 null이더라도 바로 NPE가 발생하지 않으며, 클래스이기 때문에 각종 메소드를 제공해준다.
public final class Optional<T> {
// If non-null, the value; if null, indicates no value is present
private final T value;
...
}
Optional.empty() - 값이 Null인 경우
Optional은 Wrapper 클래스이기 때문에 값이 없을 수도 있는데, 이때는 Optional.empty()로 생성할 수 있다.
Optional<String> optional = Optional.empty();
System.out.println(optional); // Optional.empty
System.out.println(optional.isPresent()); // false
//optional에 값이 있는지 없는지 boolean으로 반환 있으면 true 없으면 false
Optional 클래스는 내부에서 static 변수로 EMPTY 객체를 미리 생성해서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빈 객체를 여러 번 생성해줘야 하는 경우에도 1개의 EMPTY 객체를 공유함으로써 메모리를 절약하고 있다.
Optional.of() - 값이 Null이 아닌 경우
만약 어떤 데이터가 절대 null이 아니라면 Optional.of()로 생성할 수 있다. 만약 Optional.of()로 Null을 저장하려고 하면 NullPointerException이 발생한다.
// Optional의 value는 절대 null이 아니다.
Optional<String> optional = Optional.of("MyName");
Optional.ofNullbale() - 값이 Null일수도, 아닐수도 있는 경우
만약 어떤 데이터가 null이 올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는 경우에는 Optional.ofNullbale()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후에 orElse 또는 orElseGet 메소드를 이용해서 값이 없는 경우라도 안전하게 값을 가져올 수 있다.
Optional 사용법 예시
기존에는 아래와 같이 null 검사를 한 후에 null일 경우에는 새로운 객체를 생성해주어야 했다. 이러한 과정을 코드로 나타내면 다소 번잡해보이는데, Optional<T>와 Lambda를 이용하면 해당 과정을 보다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다.
// Java8 이전
List<String> names = getNames();
List<String> tempNames = list != null
? list
: new ArrayList<>();
// Java8 이후
List<String> nameList = Optional.ofNullable(getNames())
.orElseGet(() -> new Array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