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의 개념 및 범위

코쓱타드·2023년 3월 20일
0
post-thumbnail

<개념>

  1. 변수의 선언
var 나이;
var 성별;

위와 같이 변수 만드는 걸 '선언'이라고 합니다.

  1. 할당
var 나이 = 28;
var 성별 = "남자"; // (1)
----------------
var 나이;
나이 = 28;
var 성별;
성별 = "남자"; // (2)

위와 같이 변수에 값을 집어넣는 것을 '할당'이라고 합니다.
(1)번과 같이 선언과 할당을 같이할 수도 있고
(2)번과 같이 선언과 할당을 각각 따로 할 수도 있습니다.

<범위>

1. var

function 함수(){
  var 나이 = 28;
  console.log(나이); // 가능
}
console.log(나이); //  불가능

var의 범위는 '함수'입니다. 위와 같이 함수 안에서 변수를 만들었을 경우에는 함수 안에서만 사용가능합니다.
밖에선 사용할 수 없고, 만약 밖에서 출력하려 한다면 '변수가 정의되지 않았습니다.'라는 에러를 출력하게 됩니다.

2. let & const

if(true) {
  let 이름 = "ko"; // const도 마찬가지 입니다. 
}
console.log(이름); // 없다고 나옵니다. 

이처럼 let과 const는 모든 중괄호가 범위입니다. var보다 범위가 좁습니다.

var 와 let & const의 차이점

1. var 는 "재선언"과 "재할당"이 가능합니다.

var 나이 = 28 ; 
var 이름 = "ko";
---------------
// 재할당
var 나이 = 30 ; 
console.log(나이); // 30
var 이름 = "Kim"; 
console.log(이름); // kim
---------------
// 재선언 (사실 재할당과 재선언이 동시에 된 경우입니다.) 
var 성별 = "남자";
var 직업 = "개발자"; 

2. let과 const 는 재선언이 불가능합니다. 재선언하면 에러를 발생시킵니다.

let 직업 = "개발자";
const 가격 = 6000;
----------------
// 재선언
let 직업; // 에러가 발생합니다. const도 마찬가지입니다. 
  • 장점
    = 코드가 1억 줄이라고 생각해봅시다. 그렇게 되면 나중에 만들었던 변수를 또 만드는 실수를 할 수있는데 let 과 const는 그런 실수를 미리 방지해줍니다.

3. 더 나아가 const는 '재할당'도 불가능합니다.

const 가격 = 6000;
가격 = 18000; // 에러가 발생합니다. 
  • 그럼 const는 왜 사용하나요?
    = 값을 수정하면 큰일나는 변수들을 만들고 싶을 때 유용합니다. 나중에 const의 값을 변경하는 실수를 방지하고 싶을 때 사용하면 됩니다.
profile
개발자의 길 from 2022.12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