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테코 첫 과제로는 프리코스때 진행했던 자동차 경주를 페어프로그래밍 하는 것 이었다.초반에 구조를 잡지 않고 시작하여 중간에 많이 애먹었지만 구현을 목적으로 하여 시간 안에 완성할 수 있었다.기존 클래스 명확하게 수정하기 기존에 Move 라는 클래스에 자동차의 이름
🔥tanstack-query(v5) 마지막 미션의 비동기 상태관리는 react-query 로 해야 했다. 생각보다 내용이 많아져서 (1)캐싱 시간,query와 mutation과 낙관적 업데이트, query key (2)무한스크롤, defaultOption 과 캐시와 onError 로 나눠서 정리할 예정이다. ⏰ staleTime vs gcTime(구 ...
설치 yarn add -D 라이브러리명 로컬 환경에서 개발 및 테스트에만 필요한 패키지들이 정의되어 있다.devDependencies에 포함된 라이브러리는 실제 배포할 때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빌드 시간을 줄일 수 있다.ex) eslint, prettier ,rea
패키지 매니저를 정했으니 이제 필요한 패키지들을 설치해보자yarn init-y package.json 파일을 생성해준다. 직접 package.json 파일을 커스텀해 줄 것 이기 때문에 -y(--yes) 로 질문들을 스킵해준다.yarn add react react-do
이전에 S3+cloudfront 배포를 해본적이 있다고 배포를 이해했다고 착각한 것 같다. 이번 배포때 배포 과정에 전혀 참여하지 못해서🥲 아쉬운 마음에 제대로 공부해보았다. 이제는 더이상 비전공자라 컴퓨터 지식이 부족하다고 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고(주변 비전공자
지난번에 코딩해듀오에 대한 UT를 진행했었다. 사용자들이 미션 생성 이라던지, 페어룸의 기능들이 왜 있는건지, 어떤 순서로 진행해야하는지 등에 대한 정보가 tooltip 이나 설명 몇줄이 적혀있더라도 헷갈려했다. 그래서 코딩해듀오 만의 용어와 사용법들에 대한 정보를 담
🗣️ SSR 과 CSR 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자! SSR은 서버 사이드 렌더링, CSR은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이다. 글자 그대로 SSR 은 서버에서 html을 만들고, CSR 은 브라우저에서 html을 만든다. 하지만 여기에는 몇가지 의문이 생길 수 있다.
SSR은 서버에서 html을 생성하고, CSR은 브라우저에서 html 을 생성한다. 그렇다면 예시를 보며 비교해보자! 우리는 api 서버에서 영화 목록을 불러오고, 불러온 영화목록을 화면에 보여줘야하는 상황이다. 이때 html 코드는 다음과 같다. 다음과 같은 ht
코딩해듀오에서는 프론트엔드 폴더 내에 이미지를 넣어 같이 배포했다. 사진이 많지 않기도 했고 서버에서 건들이지 않는 정적 자료이기 때문에 폴더 내에 위치하도록 했다. 프론트엔드 폴더 내에 저장할때는 src 폴더 내에 위치할지, public 폴더에서 관리할 지 고민했다.
코딩해듀오 서비스는 개발과 동시에 사용해야 해서 중간마다 시간을 확인하기 번거롭다는 피드백이 있었다. 기존의 코딩해듀오 서비스에서는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title 에 남은 타이머 시간을 넣어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했다. 이렇게 어느정도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