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컴퓨팅
인터넷 기술을 활용해 IT자원을 언제 어디서든 필요할 때 필요한 만큼 사용하고,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IT환경
특성
- 필요에 따라 사용하는 셀프 서비스 (On Demand Self-Service)
사용자가 필요로 할 때, 필요한 것을 필요한 만큼 골라서 사용할 수 있는 셀프 서비스가 가능하다.
- 물리적 위치에 구애 받지 않는 리소스 풀링 (Resource pooling)
분산 되어 있는 여러 IT리소스를 연결하고, 이를 가상화 해서 사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리소스 활용이 가능하다. (자원의 탄력적 사용 가능)
- 광대역 네트워크 연결 (Broad Network Access)
물리적으로 분산된 IT 리소스를 논리적으로 연결해 사용하므로 서비스 공급자와 소비자 모두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자원에 접근한다.
- 신속한 탄력성 (Rapid Elasticity)
사용자의 요구에 맞춰 신속하게 확장되거나 축소된다.
- 측정 가능한 서비스 (Measured Service)
사용한 만큼 과금 되므로 사용자가 사용 중인 리소스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장점
- 신속한 인프라 도입
인프라 도입에 들어가는 시간을 절감하여 서비스 제공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
- 유연한 인프라 관리
인프라를 실시간으로 자유롭게 증감할 수 있기 때문에 인프라 부족 또는 과도한 인프라 도입이라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 손쉬운 글로벌 서비스
과거에는 글로벌 서비스를 위해 기업이 직접 지역 별로 데이터 센터를 구축해야 했지만, 이제는 클라우드 사업자가 미리 구축한 글로벌 데이터 센터를 활용해 글로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 합리적인 요금제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면 되고, 이용료가 알기 쉽게 정해져 있어 기업은 이에 맞춰 어느 정도의 비용이 나올지 손쉽게 추산할 수 있다.
단점
- 생각보다 비싼 이용 비용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료보다 기존 서비스 호스팅 사업자의 이용료가 더 저렴한 경우가 많으며 플랫폼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클라우드가 제공하는 기술을 많이 이용할수록 클라우드 이용 비용은 더욱 커진다.
- 데이터 보관의 불안함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에서 보관하고 있다는 불안함이 있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 클라우드 서비스의 장점을 누리면서, 데이터 외부 보관이라는 단점을 상쇄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 유형
-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인프라를 제공해주는 클라우드 서비스로 컴퓨팅 자원(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 등)을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제공
- Paas(Platform as a Service)
인프라 뿐 아니라 OS, 미들웨어 등 개발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
- Saas(Software as a Service)
소프트웨어나 어플리케이션을 제공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사가 많은 범위를 책임지는 서비스(SaaS)일수록 비용은 올라가고, 사용자가 직접 관여해야 하는 범위가 넓은 서비스(IaaS)일수록 사용자가 검토해야할 영역이 넓어지게 된다.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형태
- 프라이빗 클라우드
기업이 시스템 자원을 직접 소유하고 자신들의 회사 전용 클라우드로 사용하는 것으로 보안성이 매우 뛰어나며 개별 고객의 상황에 맞게 클라우드 기능을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퍼블릭 클라우드
외부 클라우드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 클라우드를 이용하는 것으로 인터넷에 접속 가능한 모든 사용자를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이다.
ex) AWS / KT 클라우드 등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와 자체인프라(프라이빗 클라우드 / 온프레미스)를 함께 사용하는 서비스이다.
- 멀티 클라우드
여러 벤더가 제공하는 동일한 유형의 클라우드(퍼블릭 또는 프라이빗)의 클라우드를 2개 이상 사용하는 서비스이다.
Reference
https://it-ist.tistory.com/94
https://www.ajunews.com/view/20200330041442280
https://www.samsungsds.com/kr/story/CLOUD_210129.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