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Cycle Method 는 한국말로 "생명주기 메서드" 라고 부른다.
생명주기 메서드는 컴포넌트가 브라우저 상에 나타나고 업데이트되고 사라질 때 호출되는 메서드이다. 그리고 추가로 컴포넌트에서 에러가 났을 때 호출되는 메서드 또 한 존재한다.
생명주기 메서드는 클래스형 컴포넌트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고, 전에 배운 useEffect 랑 비슷한 면이 있다.
우리는 리액트를 배우면서 이 개념에 너무 많은 시간을 할애하지 않는 것을 추천합니다. 앞으로는 사용할 일도 없을 것 이다. 보고 사용할 수 있는 정도만 이해하자!
위에 있는 링크로 들어가서 미리 작성된 코드를 보면서 하나씩 설명을 할 것 이다.
이렇게 링크로 들어가서 해당 코드를 새로운 창으로 뛰으면 세 개의 버튼이 보일 것 이다.
이렇게 버튼을 눌러서 변화를 줄 때마다 생명주기 메서드들을 호출하게 된다.
출처 : https://projects.wojtekmaj.pl/react-lifecycle-methods-diagram/
우선...
마운트가 될 때마다 발생하는 생명주기들
componentDidMouont
컴포넌트의 첫 번째 렌더링이 끝나고 나면 호출되는 메서드이다. 이 메서드는 호출되는 시점에서 우리가 만든 컴포넌트가 화면에 나타난 상태이다.
여기선 주로 masonry, D3 처럼 DOM 을 사용해야하는 외부 라이브러리 연동을 하거나, 해당 컴포넌트에서 필요로하는 데이터를 요청하기 위해 axios, fetch 등을 통하여 ajax 요청을 하거나, DOM 의 속성을 읽거나 직접 변경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render
쉽게 말해서 컴포넌트를 렌더링하는 메서드이다.
getDerivedStateFromProps
이 메서드는 props 로 받아온 것을 state 에 넣어주고 싶을 때 사용한다.
static getDerivedStateFromProps(nextProps, prevState) {
console.log("getDerivedStateFromProps");
if (nextProps.color !== prevState.color) {
return { color: nextProps.color };
}
return null;
}
다른 생명주기 메서드와 달리 static 을 필요로 하고, 이 안에서는 this 를 조회할 수 없다. 여기서 특정 객체를 반환하게 되면 해당 객체 안에 있는 내용들이 컴포넌트의 state 로 설정이 된다. 반면에 null 을 반환하면 아무런 일도 발생하지 않는다.
알아야 할 점은 이 메서드는 컴포넌트가 처음 렌더링 되기 전에 호출되고, 그 이후 리렌더링 되기 전에도 실행한다.
constructor
이 메서드는 컴포넌트의 생성자 메서드이다. 컴포넌트가 만들어지면 가장 먼저 실행하는 메서드이다.
constructor(props) {
super(props);
console.log("constructor");
}
컴포넌트가 업데이트 되는 시점에 호출되는 생명주기 메서드들
getDerivedStateFromProps
아까전에 마운트에서 다뤘던 메서드이면서 컴포넌트의 props 혹은 state 가 바뀌었을 때 이 메서드가 호출된다.
shouldComponentUpdate
이 메서드는 컴포넌트가 리렌더링 할지 말지를 결정하는 메서드이다.
shouldComponentUpdate(nextProps, nextState) {
console.log("shouldComponentUpdate", nextProps, nextState);
// 숫자의 마지막 자리가 4면 리렌더링하지 않습니다
return nextState.number % 10 !== 4;
}
우리가 이전에 배운 React.memo 의 역할인 최적화를 할 때 사용하는 메서드이다.
render
이번에는 생략하겠다!
getSnapshotBeforeUpdate
이 메서드는 컴포넌트에 변화가 일어나기 직전에 DOM 상태를 가져와서 특정 값을 반환하게 된다면 그 다음으로 발생하는 componentDidUpdate 함수에 받아와서 사용을 할 수 있다.
getSnapshotBeforeUpdate(prevProps, prevState) {
console.log("getSnapshotBeforeUpdate");
if (prevProps.color !== this.props.color) {
return this.myRef.style.color;
}
return null;
}
componentDidUpdate
이 메서드는 리렌더링이 끝나고, 화면에 우리가 원하는 변화가 모두 반영이 되었을 때 난 뒤에 호출하는 메서드이다.
3번째 파라미터로 getSnapshotBeforeUpdate 에서 반환한 값을 조회 할 수 있다.
componentDidUpdate(prevProps, prevState, snapshot) {
console.log("componentDidUpdate", prevProps, prevState);
if (snapshot) {
console.log("업데이트 되기 직전 색상: ", snapshot);
}
}
위의 링크는 getSnapshotBeforeUpdate 의 실제 사용사례를 담은 코드이다.
코드를 살펴보면...
getSnapshotBeforeUpdate(prevProps, prevState) {
// DOM 업데이트가 일어나기 직전의 시점입니다.
// 새 데이터가 상단에 추가되어도 스크롤바를 유지해보겠습니다.
// scrollHeight 는 전 후를 비교해서 스크롤 위치를 설정하기 위함이고,
// scrollTop 은, 이 기능이 크롬에 이미 구현이 되어있는데,
// 이미 구현이 되어있다면 처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if (prevState.array !== this.state.array) {
const { scrollTop, scrollHeight } = this.list;
// 여기서 반환 하는 값은 componentDidMount 에서 snapshot 값으로 받아올 수 있습니다.
return {
scrollTop,
scrollHeight
};
}
}
componentDidUpdate(prevProps, prevState, snapshot) {
if (snapshot) {
const { scrollTop } = this.list;
if (scrollTop !== snapshot.scrollTop) return; // 기능이 이미 구현되어있다면 처리하지 않습니다.
const diff = this.list.scrollHeight - snapshot.scrollHeight;
this.list.scrollTop += diff;
}
}
Chrome 브라우저에서는 브라우저 자체적으로 이미 구현되어있는 기능중에 하나인데, 새로운 내용을 추가했을 때 사용자의 스크롤 위치를 유지시키는 기능을하고 있다.
위의 이미지를 보면 버튼을 누를때마다, 새로운 내용이 추가되지만 스크롤은 첫 번째 내용에만 고정되어있다.
중요한 사실은 getSnapshotBeforeUpdate 은 사실 사용되는 일이 그렇게 많지 않아서 이 정도만 익혀두는게 좋다.
참고로 함수형 컴포넌트와 Hooks 를 사용해서 getSnapshotBeforeUpdate 를 대체 할 수 있는 기능은 아직 구현되지 않았다.
DOM 에 변화가 반영되기 직전에 DOM 의 속성을 확인하고 싶을 때 이 생명주기 메서드를 사용하면 된다는 것을 알아두자!
언마운트는 마운트와 반대로 컴포넌트가 화면에서 사라지는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관련된 생명주기 메서드는 딱 하나 componentWillUnmount 이다.
componentWillUnmount
이 메서드는 컴포넌트가 화면에서 사라지기 직전에 호출된다.
componentWillUnmount() {
console.log("componentWillUnmount");
}
여기서는 주로 DOM에 직접 등록했었던 이벤트를 제거하고, 만약에 setTimeout 있다면 clearTimeout 을 통하여 제거를한다.
추가적으로, 외부 라이브러리를 사용한게 있고 해당 라이브러리에 dispose 기능이 있다면 여기서 호출해주면 된다.
참고 : 벨로퍼트와 함께하는 모던 리액트
느낀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