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토콜
장비 간 정보를 주고 받을 규칙이나 방법
호스트 간에 합이된 의사소통 규칙(e.g. HTTP, HTTP, FTP)
7계층 표 정리
물리 계층의 장비
MAC 주소를 사용하지 않는다.
MAC주소는 데이터 링크 계층 개념
오늘날은 사용하지 않음
주소개념이 없기 때문에 모든 포트로 정보를 내보냄
송신 혹은 수신이 한번에 한번만 이루어지는 통신(e.g. 무전기)
오늘날 네트워크는 대부분 전이중 통신 지원
동시에 허브로 데이터를전송할 경우 충돌이 발생
캐리어(반송파) 감지 : 메시지 전송 전현재 전송 중인 있는지 확인
다중 접근: 두 개 이상의 호스트가 동시에 네트워크에 접근 (충돌 발생)
충돌 감지 : 잼 신호를 보낸 뒤 임의의 시간 동안 대기 후 재전송
전달받은신호를모든포트로내보냄
연결된 모든 호스트가 충돌 도메인
반이중 모드로 통신
스위치 : 허브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만들어짐
전달 받은 신호를 목적지 포트로만 포트로 내보내고
목적지 호스트가 연결된 곳만 충돌 도메인에 속해 있으며
전이중 모드로 통신하는
데이터 링크 계층의 장비
플러딩
포워딩과 필터링
에이징
VLAN으로 나누면 브로드 캐스트의 범위도 달라짐
만약 LAN간 소통하려면 네트워크 계층 이상의 장비가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