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 스터디 - 프로토콜 / 네트워크 엑세스 계층

이강민·2024년 7월 21일
0

커널360

목록 보기
10/56
post-thumbnail

인터넷

서버와 클라이언트

  • 서버 : 응답을 보내는 호스트
  • 클라이언트 : 요청을 보내는 호스트
  • 서버와 클라이언트는 절대적인 관계가 아니며 서로의 역할이 바뀔 수 있다.
    • 개인 컴퓨터가 서버가 될 수도, 클라이언트가 될 수 있다.

LAN, WAN, MAN,

LAN

WAN

  • ISP LAN 이상의 통신 필요한 경우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가 필요함(KT, SKT LG 등)

패킷 교환 네트워크

패킷의 구성 요소

  • 헤더 : 패킷에 붙일 부가 정보
  • 페이로드 : 패킷에 보낼 정보
  • 트레일러 : 패킷 뒤에 붙일 부가정보

    프로토콜
    장비 간 정보를 주고 받을 규칙이나 방법
    호스트 간에 합이된 의사소통 규칙(e.g. HTTP, HTTP, FTP)

캡슐화 <-> 역캡슐화

  • 상위 계층으로부터 내려받은 패킷을 페이로드 삼아 상위 계층으로부터 정보에 프로토콜에 걸맞는 헤더를 덧 붙이는 것.

7계층 표 정리

이더넷

표준 규격

  • 케이블을 지칭 할 때 : 전송속도 BASE - 추가 특성
    • 10BASE-T
    • 25GBASE-LR
    • 5GBASE-T
  • 소프트웨어의 속도는 하드웨어의 성능에 종속되어 있듯이 케이블 전송 속도가 느리면 영향이 있다.
  • 추가 특성에 따른 케이블

데이터링크 계층에서의 이더넷

  • 프리앰블
    • 이더넷 프레임의 시작을 알리는 비트열
  • 목적지 / 송신지 MAC 주소
    • 물리적 주소, 네트워크 장치마다 할당된 고유한 주소
    • NIC 프레임 판단, 폐기
  • 이더 타입 / 길이
    • 1536 이상일 경우 : 이더타입 (이 프레임이 무엇을 캡슐화했는지)
    • 1500 이하일 경우 프레임 크기
  • 페이로드
    • 운반할 데이터 (네트워크 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
  • FCS
    • 오류검출을 위한 CRC값이 명시되는 필드

허브와 CSMA/CD

허브

  • 물리 계층의 장비

  • MAC 주소를 사용하지 않는다.

  • MAC주소는 데이터 링크 계층 개념

  • 오늘날은 사용하지 않음

  • 주소개념이 없기 때문에 모든 포트로 정보를 내보냄

    반이중 통신

  • 송신 혹은 수신이 한번에 한번만 이루어지는 통신(e.g. 무전기)

  • 오늘날 네트워크는 대부분 전이중 통신 지원

    • 전 이중 통신 : 송신과 수신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통신(e.g.전화)
  • 동시에 허브로 데이터를전송할 경우 충돌이 발생

    • 충돌이 발생할 수 있는 범위 : 콜리전 도메인

    반이중 이더넷의 충돌을 해결하기 위한 CSMA/CD

    CS : Carrier Sensc

  • 캐리어(반송파) 감지 : 메시지 전송 전현재 전송 중인 있는지 확인

    MA : Multiple Access

  • 다중 접근: 두 개 이상의 호스트가 동시에 네트워크에 접근 (충돌 발생)

    CD : Collision Detection

  • 충돌 감지 : 잼 신호를 보낸 뒤 임의의 시간 동안 대기 후 재전송

    허브의 특성

  • 전달받은신호를모든포트로내보냄

  • 연결된 모든 호스트가 충돌 도메인

  • 반이중 모드로 통신

    스위치와 VLAN

  • 스위치 : 허브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만들어짐

  • 전달 받은 신호를 목적지 포트로만 포트로 내보내고

  • 목적지 호스트가 연결된 곳만 충돌 도메인에 속해 있으며

  • 전이중 모드로 통신하는

  • 데이터 링크 계층의 장비

스위치의 MAC주소 활용

  • MAC 주소 학습 기능
    • 포트에 연결된 호스트와 MAC 주소의 관계를 기억하는 스위치 기능
    • MAC 주소 테이블로 학습

학습 과정 (송신지 기반 학습)

  • 플러딩

    • 허브와 같이 모든 포트에 프레임 전송
    • 해당 MAC 주소를 제외한 나머지 송신지에서는 폐기함
    • 포트 - MAC 주소 테이블을 만들어감
  • 포워딩과 필터링

    • 어떤 포트로 내보낼지 내보내지 않을지 결정
  • 에이징

    • 특정 시간이 지나면 MAC 주소 테이블 항목 삭제

    VLAN

    • 스위치 기능
    • 가상의 LAN
    • 물리적 위치에 관계 없이 특정 LAN에 속할 수 있음

  • VLAN으로 나누면 브로드 캐스트의 범위도 달라짐

  • 만약 LAN간 소통하려면 네트워크 계층 이상의 장비가 필요함

종류

  • 포트 기반 VLAN (정적)
  • MAC 주소 기반 VLAN(동적)
profile
AllTimeDevelop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