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이 있는 특수 문자 (+, *, / , - 등..)
연산자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지금 단계에서 사용하는 연산자는 논리, 삼항, 대입 연산자 정도 있다.
다른 연산자에 관해서는 JAVA공부를 하면서 알아보겠다.
대입연산자는 비트연산을 통하여 계산하는 연산자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는 보통 32비트와 64비트를 사용하며 이진법을 통해 계산을 한다.(보통 암호화에서 사용된다고 하나 직접 사용해본적이 없다. 나중에 암호화를 배우면 자세히 서술해보겠다.)
대입 연산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AND / 표기방법 : &&
OR / 표기방법 : ||
XOR / 표기방법 : ^
NOT / 표기방법 : ~
LEFT SHIFT / 표기방법 : A << a / 사용구분: A를 a만큼 좌로 이동
RIGHT SHIFT / 표기방법 : B >> b / 사용구분: B를 b만큼 우로 이동
조건 식에서 쓰는 연산자
조건식: 결과가 참 또는 거짓 단 2개만 나오는 식
== : 같다.
!= : 같지 않다.
<,> : 초과, 미만
<=, >= : 이상, 이하
A&&B : 2개의 조건식이 참이여야 참
A||B : 둘 중 하나의 조건식이 참이면 참
!A : 참이면 거짓, 거짓이면 참
조건 연산자는 제어문에서 사용하며 대표적으로 IF가 있다.
삼항연산자와 제어문을 따로 다루지만 기본적인 원리와 이해에 대한 맥락은 같기 때문에 한번에 다루어 보겠다.
if제어문은 다음과 같이 알고 있으면 된다. (삼항연산자도 같음)
<만약 조건식이 참이라면 무엇이고 거짓이라면 무엇이다.>
if제어문은 실행할 문장과 조건식에 따라서 다르지만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if(조건식){
실행할 문장1;
}else{
실행할 문장2;
}
//참이면 문장1을 실행, 거짓이면 문장2를 실행
조건식이 여러개라면 다음과 같이 작성할 수 있다.
if(조건식1){
실행할 문장1;
}if(조건식2){
실행할 문장2;
}if(조건식3){
실행할 문장3;
}
//조건식1, 2, 3 모두 검사하고 각 조건식이 참이면 1, 2, 3 실행함.
조건식을 불만족하고 다음 조건식을 실행시키려면 다음과 같이 작성 할 수 있다.
if(조건식1){
실행할 문장1;
}else if(조건식2){
실행할 문장2;
}else {
실행할 문장3;
}
//조건식1이 참이면 문장1 거짓이면 조건식2실행 조건식2가 참이면 문장2 거짓이면 문장3실행한다.
삼항연산자는 if제어문을 간단하게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조건식1) ? 실행할 문장1 : 실행할 문장2;
//조건식1이 참이면 문장1 실행, 거짓이면 문장2 실행
if제어문처럼 사용 가능하며 간단하게 표현하고자 하거나 반복되는 if제어문을 간단히 표시할 수 있어서 많이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