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사에서는 각 부서에 필요한 물품을 지원해 주기 위해 부서별로 물품을 구매하는데 필요한 금액을 조사했습니다. 그러나, 전체 예산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모든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 줄 수는 없습니다. 그래서 최대한 많은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 줄 수 있도록 하려고 합니다.
물품을 구매해 줄 때는 각 부서가 신청한 금액만큼을 모두 지원해 줘야 합니다. 예를 들어 1,000원을 신청한 부서에는 정확히 1,000원을 지원해야 하며, 1,000원보다 적은 금액을 지원해 줄 수는 없습니다.
부서별로 신청한 금액이 들어있는 배열 d와 예산 budget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최대 몇 개의 부서에 물품을 지원할 수 있는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d | budget | result |
---|---|---|
[1,3,2,5,4] | 9 | 3 |
[1,3,2,5,4] | 10 | 4 |
입출력 예 #1
각 부서에서 [1원, 3원, 2원, 5원, 4원]만큼의 금액을 신청했습니다. 만약에, 1원, 2원, 4원을 신청한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주면 예산 9원에서 7원이 소비되어 2원이 남습니다. 항상 정확히 신청한 금액만큼 지원해 줘야 하므로 남은 2원으로 나머지 부서를 지원해 주지 않습니다. 위 방법 외에 3개 부서를 지원해 줄 방법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모든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주면 10원이 됩니다. 따라서 최대 4개 부서의 물품을 구매해 줄 수 있습니다.
function solution(d, budget) {
let sum_d = 0;
let result =0;
//매개변수 d는 배열이며, 최소의 수 부터 더하기 위해 오름차순 정렬을 하였다.
d.sort((a,b) => a-b);
//오름차순 정렬을 시켜 index 0부터 차례로 더했으며 더한 값을 담기위해 sum_d라는 변수를 만들었다.
for (let i = 0; i < d.length; i++) {
//만들어진 변수에 d[i] 값을 차례로 더했다.
sum_d += d[i];
//더한 값의 갯수를 구하기 위해 result라는 변수를 만들고 증가연산을 하였다.
result++;
//더한 값이 budget을 초과할때 반복을 멈추고 result에는 초과한 값까지 갯수를 세었으니 그 갯수에서 --를 하였다.
if(sum_d > budget){
result--;
break;
}
}
//만들어진 result 값이 원하는 최대로 많은 부서에게 지원할 수 있는 갯수이다.
return result;
}
function solution(d, budget) {
//1번 풀이와 마찬가지로 d를 정렬하였다.
d.sort((a, b) => a - b);
//여기서 반대로 배열을 먼저 다 더하여 budget보다 많을 경우 pop을 하여 배열의 큰수부터(오름차순으로 pop을 하면 가장 큰 수부터 제거) 제거한다.
//먼저 배열을 다 더하기 위해 reduce API를 사용하고 while 문으로 참일때 마다(참인 경우는 budget을 초과할때) pop을 실행한다.
while (d.reduce((a, b) => (a + b), 0) > budget) d.pop();
//budget보다 작은 수가 되면 while문은 멈추고 이때의 d 배열의 길이를 구하면 결과를 구할 수 있다.
return d.length;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