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코프

김민수·2023년 10월 16일
0
post-thumbnail

1. 스코프란?

스코프 : 모든 식별자는 자신이 선언된 위치에 의해 다른 코드가 식별자 자신을 참조할 수 있는 유효 범위가 결정되는 것.
-> 식별자가 유효한 범위를 말한다.

스코프란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식별자를 검색할 때 사용하는 규칙이라고도 할 수 있다.

단어 정리

식별자 결정 :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이름이 같은 변수 중에서 스코프를 통해 어떤 변수를 참조해야 할 것인지 결정하는 것.

렉시컬 환경 : 코드가 어디서 실행되며 주변에 어떤 코드가 있는지


2. 스코프의 종류

구분설명스코프변수
전역코드의 가장 바깥 영역전역 스코프전역 변수
지역함수 몸체 내부지역 스코프지역 변수
  • 전역 변수는 어디서나 참조할 수 있다.
  • 지역 변수는 자신의 지역 스코프와 하위 지역 스코프에서 유효한다.

3. 스코프 체인

스코프 체인 : 스코프가 계층적으로 연결된 것

  • 변수를 참조할 때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스코프 체인을 통해 변수를 참조하는 코드의 스코프에서 시작하여 사우이 스코프 방향으로 이동하며 선언된 변수를 검색한다.
  • 상위 스코프에서 유효한 변수는 하위 스코프에서 참조할 수 있지만, 하위 스코프에서 유효한 변수를 상위 스코프에서 참조할 수 없다.

4. 함수 레벨 스코프

블록 레벨 스코프 : 모든 코드 블록이 지역 스코프를 만든다. (C, 자바 등)
함수 레벨 스코프 : 함수에 의해서만 지역 스코프를 만든다.

  • var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는 오로지 함수의 코드 블록만을 지역 스코프로 인정한다.

5. 렉시컬 스코프

  • 함수를 어디서 호출했는지에 따라 함수의 상위 스코프를 결정한다.

    • 이를 동적 스코프라 한다.
    • 함수를 정의하는 시점에는 함수가 어디서 호출될 지 알 수 없고, 함수가 호출되는 시점에서 동적으로 상위 스코프를 결정한다.
  • 함수를 어디서 정의했는지에 따라 함수의 상위 스코프를 결정한다.

    • 해당 방식을 렉시컬 스코프(=정적 스코프)라고 한다.
    • 함수 정의가 평가되는 시점에 상위 스코프가 정적으로 결정한다.
    • 자바스크립트는 렉시컬 스코프를 따르므로 함수를 어디서 정의했는지에 따라 상위 스코프를 결정한다.
    • 함수의 상위 스코프는 언제나 자신이 정의된 스코프이며, 함수 정의가 실행될 때 정적으로 결정한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