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고] PADO

김명현·2024년 4월 30일
0
post-thumbnail

1. 기획


1-1. 초기 기획

조원들끼리 최종 프로젝트 아이디어에 대해 브레인스토밍 중에 안티SNS라는 주제가 발의 되었는데 좋은 아이디어라 생각들어 파고들게 됐습니다. 이미 유럽권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BeReal 이라는 앱이 있었습니다. BeReal은 꾸며지지않은 자신의 모습을 공유하는 SNS였는데, 이러한 기획이 너무 매력적이라 생각들어 이 프로세스를 따르되, BeReal의 단점을 보완해서 해보기로했습니다.

그렇게 기획을 하고 개발을 들어가기전에 피드백을 받았는데, 이미 잘된 앱의 아이덴티티를 따라한 아류작이 될것이란 피드백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다른앱들을 참고하지않고 다시 기획을 하기로했습니다.


1-2. 기획 수정

기획을 수정하는 단계에서 안티 SNS의 가장 핵심인, 꾸며지지않은 나의모습을 보여줄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한 끝에 친구들이 바라보는 나의 모습이 꾸며지지않은 나의 모습이다 라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그래서 PADO의 가장 핵심은 친구가 꾸며주는 SNS로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2. 프로젝트 진행


2-1. 기능 분배

우선 노션으로 앱의 뷰 마다 기능을 분류하여 기능명세를 작성하였습니다. 그리고 특이점으로는 1인1기능 방식으로 개발을 하지않고 드라이버네비게이터 2인 1조로 페어프로그래밍을 진행하였습니다. 이렇게 진행한 이유로는 1인 1기능을 담당하면 전체적인 코드를 이해하기가 어렵고, 페어프로그래밍을 경험해보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2-2. 프로젝트 관리

효율적인 프로젝트 관리를 위해 저희는 Github projects를 이용하여 Kanban를 작성하였습니다.
어떤 파트가 얼마나 진행되었는지, 전체적인 완성은 얼마나 완료되었는지 한 눈에 좋았습니다.


2-3. 피드백 및 문제점

저희 프로젝트는 데드라인이 2달이였는데 생각보다 일찍 1달만에 MVP 배포를 완료했습니다.
그 후 주변 지인분들 피드백을 듣고싶어 앱을 사용해보고 피드백을 부탁했습니다. 가장 많은 피드백을 받은 내용이 조금 충격적이였는데, 앱을 어떻게 사용하는지를 모르겠다는 내용이였습니다.
저희 앱이 보편적인 SNS와 사용법이 다른것을 알고있어 탭마다 사용법을 작성을 해놨었는데 그게 실제 유저들에겐 친절한 안내가 아니였던것입니다. 그래서 온보딩 페이지를 따로 만들어 보완했습니다.

온보딩 이외에도 배포전 조원들과 앱을 사용하면서 오류를 많이 수정하고 배포했다 생각했지만 실제 다수 유저들이 사용했을때 회원가입, 새로고침, 알람 등 정말 많은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오류 제보를 받자마자 저희는 아침부터 밤까지 오류를 수정하여 현재 배포 버전에는 제보받은 모든 오류를 해결하였습니다.지금도 오류가 발견되거나 제보를 받으면 즉시 해결하고있습니다.

3. 프로젝트 그 후


3-1. 아쉬웠던 점

  • 효율적이지 못한 코드 : 진행했던 프로젝트가 데드라인이 정해져있던 프로젝트이다보니 저희는 기능구현에만 몰두하고 앞만보고 달려나갔습니다. 그러다보니 기능은 구현하였지만 코드가 효율적이지 못하고 가독성이 떨어졌습니다.
    그래서 프로젝트가 끝나고 멘토님에게 도움을 받아 리팩토링을 진행하였습니다.

  • TDD : TDD 역시 기능구현에 급급하다보니 진행하지 못하였는데, TDD 작업을 하지 않았다보니 배포 후에도 그렇게 많은 오류가 나왔던것같습니다. 덕분에 TDD가 얼마나 중요한지 느끼게 되었습니다.

  • 서버 : 저희는 iOS만 5명인 팀이였기 때문에, 서버를 구축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백엔드 유저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파이어베이스를 서버로 사용하였습니다. 저는 파이어베이스 또한 처음 사용하였기 때문에 좋은 경험이였지만, 사용할 수록 한계가 분명히 드러났습니다. 관계형 DB가 아니다 보니, 게시글 삭제나 팔로우/팔로잉 등 데이터를 1개를 추가하면 연관되어있는 부분들의 데이터를 직접 하나하나 추가/업데이트/삭제 해주어야하는 부분이 너무나도 큰 단점이었다.


3-2. 앞으로의 PADO

  • 비즈니스 모델 : 앱의 기능만큼 비즈니스 모델도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PADO는 비즈니스 모델로 사용자에게 불편을 주지 않는 선에서 하단에 배너를 넣어 광고 수입을 주력으로 사용할 것 입니다.

  • 추가 기능 구현 : 피드백 때 사용자들에게 필요한 기능을 조사하여 태그기능,게시글 동영상 지원,익명기능 등 추가 기능을 구현할 예정입니다.


3-3. 느낀점

개발이라는것 자체를 처음해본 나에게 PADO는 A-Z로 기획,디자인,개발을 하여 배포까지 이어진 첫 프로젝트였습니다. 어느것하나 쉬운게 없었습니다. 어느 기능을 구현하던 키보드를 잡으면 막막함부터 몰려왔고 나름 안다고 생각했던 부분 조차도 막상 프로젝트에 적용하려하면 제대로 알던게 아니였습니다. 그때부터 "아는것 같다" 가 아닌 "제대로 안다" 라고 말할 수 있을때까지 노력하여 공부하자 다짐했습니다.
2달이라는 시간을 낮밤으로 잠을 줄여가며 프로젝트를 진행하였고, 피곤하고 힘든 시간도 있었지만 내가 막힐땐 열정적으로 도와주고 나보다 더 열심히 해주는 팀원들 덕분에 마무리를 잘 지은것같습니다. PADO를 우리 팀원과 함께하였다는 것만으로도 너무 소중한 시간이였습니다.

profile
iOS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