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랍게도, Kotlin이 맞습니다.
2월 중반부터 우아한테크코스 6기 안드로이드 과정에 참여하며, 첫 미션으로 프리코스 과제였던 ‘자동차 경주’를 다시 구현해보게 되었습니다. 우테코에서는 수료 후 현업에 바로 투입될 수 있는 개발자를 양성하고 있는 만큼, 크루들의 하드스킬과 소프트스킬을 효과적으로 향상시
launch vs async, 결국 루트 코루틴으로 사용할 때 예외 발생 시 예외를 바로 던지느냐 일단 보유하고 있느냐의 차이! 그렇다면 async로 만든 코루틴의 예외 처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기껏 수신 객체로 지정해놨더니, 매개변수로 넘겨주는 것도 된다고??
Collection 대신 Sequence를 활용하는 것이 나은 경우, 그리고 Sequence의 내부 구현을 알아봅니다.
코드를 작성하고 읽는 입장에서 알아야 할 Sequence의 구성 요소를 알아보고, Sequence로 작성된 코드를 파악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비동기 처리를 위해 순수 코루틴만 활용할 때의 한계를 알아보고, 연속된 비동기 데이터 처리를 라이브러리의 도움 없이 직접 구현하는 과정을 살펴봅니다.
inline 키워드가 단순히 함수 바디 코드를 복사하여 붙여 넣는다는 의미만 가지고 있을까?
헷갈리는 inline, noinline, crossinline 개념들을 local/non-local return과 함께 알아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