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놀로지로 로컬 웹서버 구축하기

민서·2024년 4월 6일
0

개발환경구축

목록 보기
3/3

step1. 시놀로지 Docker 설치


시놀로지 GUI에 접속하여 container manager(구.Docker)를 설치한다.

step2. docker에 레지스트리 설치

ssh 포트 활성화


원래 GUI상에서 다운로드도 가능하지만 내 소프트웨어가 이상한지 버전선택이 불가능해 ssh를 통한 접속으로 다운로드 받아야 했고, 시놀로지 GUI에서만 컨테이너를 세팅하기 부족한 부분이 있다.ssh접속을 위해 포트를 활성화해준다.

ssh 접속

powershell을 이용한 접속

ssh -p {포트번호} {사용자이름}@{ip주소}


위와 같은 형식으로 powershell을 이용하거나, putty를 통해 접속할 수 있다.

node 설치

docker node공식페이지에서 필요 노드 버전을 확인하고 ssh를 통해 접속하여 다운로드 받는다.

step3. 컨테이너 생성


폴더 경로는 내 프로젝트가 존재하는 폴더의 경로를 그대로 입력하고,
마운트경로는 공식 홈페이지를 참조하여 /home/node/app로 고정한다.
실행시 node /home/node/app/index.js가 실행되도록 했다.
index.js에는 express.js 프레임워크를 설정했다.

step4. 의존성 패키지 설치, 빌드

npm install
npm run build

ssh를 통해 접속하여 의존성 패키지를 설치하고 빌드한다.

step5. 컨테이너 실행

컨테이너를 실행하면 express.js가 구현된 index.js파일이 실행되며, 빌드를 통해 번들링된 소스코드들이 실행된다. 이후 컨테이너 생성시 설정해놨던 포트로 접솔할 수 있다.

step6. 외부접속을 위한 포트포워딩


공유기 설정 페이지에서 포트포워딩을 통해 내부포트를 열어준다. http로 외부접속한다면, default 포트인 80번을 이용하면 편리하다.(별도로 포트기입이 필요하지 않다)

step7. 도메인 구매

필요시 도메인 사이트에서 도메인을 구매할 수 있다.
[가비아]에서 도메인을 구매하고, DNS설정을 통해 사이트 도메인을 만들었다.

profile
실패보다 사람을 더 미치게 하는게 후회더라구요 // 공부는 티스토리에, 생각은 벨로그에, 일상은 네이버에 기록합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