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 Query는 서버 상태 관리를 위한 강력한 라이브러리로, 데이터 fetching, 캐싱, 동기화, 업데이트 등의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복잡한 서버 데이터 로직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며, 다양한 API 호출 및 상태 관리 작업을 간소화하여 개발자의 생산성을 높여줍니다.
React Query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서버 상태 관리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useQuery
훅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쉽게 가져올 수 있습니다.useMutation
훅을 사용하여 데이터 생성, 업데이트, 삭제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React Query를 프로젝트에 설치하고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공식 문서인 Quick Start | TanStack Query React Docs를 참고하였습니다.
@tanstack/react-query
설치@tanstack/react-query
는 React 애플리케이션에서 서버 상태 관리를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라이브러리입니다. 다음 명령어를 사용하여 설치할 수 있습니다.
npm install @tanstack/react-query
패키지를 설치한 후, 애플리케이션의 루트 파일(예: index.js
또는 App.js
)에 QueryClientProvider
를 설정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React Query의 모든 기능을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ReactDOM from 'react-dom';
import { QueryClient, QueryClientProvider } from '@tanstack/react-query';
import App from './App';
// QueryClient 생성
const queryClient = new QueryClient();
ReactDOM.render(
<React.StrictMode>
<QueryClientProvider client={queryClient}>
<App />
</QueryClientProvider>
</React.StrictMode>,
document.getElementById('root')
);
설명:
QueryClient
는 React Query의 핵심 인스턴스로, 캐싱과 데이터 관리의 중심 역할을 합니다.QueryClientProvider
를 통해 queryClient
를 애플리케이션에 제공하여, 모든 컴포넌트에서 React Query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React Query에서 useQuery
와 useMutation
은 각각 데이터 fetching과 데이터 변이(mutation)를 관리하기 위한 핵심 훅입니다. 이 두 훅의 스펙과 주요 기능을 상세히 살펴보겠습니다.
useQuery
useQuery | TanStack Query React Docs
useQuery
는 서버에서 데이터를 가져오고, 그 데이터를 캐시하여 컴포넌트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훅입니다. 데이터 fetching 로직을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으며, 자동 리페칭과 캐싱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const { data, error, isLoading, isFetching, refetch, ... } = useQuery({
queryKey, // 쿼리 키
queryFn, // 쿼리 함수
...options // 선택적 옵션들
});
예시
const { data, error, isLoading, isFetching, refetch } = useQuery({
queryKey: ['todos', userId],
queryFn: () => axios.get(`/api/todos/${userId}`).then(res => res.data),
staleTime: 1000 * 60 * 5, // 5분 동안 데이터를 오래된 상태로 간주하지 않음
cacheTime: 1000 * 60 * 10, // 10분 동안 캐시 유지
enabled: true, // 쿼리 자동 실행 여부
refetchOnWindowFocus: false, // 창 포커스 시 리페칭 비활성화
onSuccess: (data) => console.log('Data fetched successfully', data),
onError: (error) => console.error('Error fetching data', error),
});
queryKey
(필수)
['todos', userId]
또는 'todos'
queryFn
(필수)
() => axios.get('/api/todos')
options
(선택)
staleTime
: 데이터가 오래된 상태로 간주되기 전까지의 시간(ms).cacheTime
: 데이터가 캐시에서 유지되는 시간(ms).enabled
: 쿼리의 자동 실행 여부를 결정합니다.refetchOnWindowFocus
: 창이 다시 포커스될 때 데이터를 다시 가져올지 여부.onSuccess
: 쿼리가 성공했을 때 호출되는 콜백 함수.onError
: 쿼리가 실패했을 때 호출되는 콜백 함수.data
: 서버에서 가져온 데이터.error
: 쿼리 실행 중 발생한 에러 객체.isLoading
: 쿼리의 데이터가 로딩 중인지 여부.isFetching
: 백그라운드에서 데이터가 다시 가져오는 중인지 여부.refetch
: 데이터를 다시 가져오는 함수.useMutation
useMutation | TanStack Query React Docs
useMutation
은 데이터를 생성, 수정, 삭제하는 등의 변이(mutation) 작업을 관리하기 위한 훅입니다. 서버에 데이터를 변경하는 요청을 보낼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변이 작업의 성공과 실패를 쉽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const { mutate, data, error, isLoading, isSuccess, isError, reset, ... } = useMutation({
mutationFn, // 변이 함수
...options // 선택적 옵션들
});
예시
const { mutate, data, error, isLoading, isSuccess, isError, reset } = useMutation({
mutationFn: (newTodo) => axios.post('/api/todos', newTodo),
onSuccess: (data) => {
console.log('Todo created successfully', data);
// 필요시 데이터를 refetch하는 등의 로직을 여기에 추가
},
onError: (error) => {
console.error('Error creating todo', error);
},
onMutate: (newTodo) => {
// 낙관적 업데이트를 위한 로직을 여기에 추가
console.log('Mutate started', newTodo);
},
retry: 3, // 실패 시 3번 재시도
retryDelay: 1000, // 1초 후 재시도
});
mutationFn
(필수)
(newTodo) => axios.post('/api/todos', newTodo)
options
(선택)
onSuccess
: 변이 작업이 성공했을 때 호출되는 콜백 함수.onError
: 변이 작업이 실패했을 때 호출되는 콜백 함수.onMutate
: 변이 작업이 시작되기 전에 호출되는 콜백 함수. 낙관적 업데이트에 사용됩니다.retry
: 실패 시 변이 작업을 다시 시도하는 횟수.retryDelay
: 재시도 간의 시간 간격.mutate
: 변이 작업을 실행하는 함수. 이 함수에 인수를 전달하여 변이를 실행합니다.data
: 변이 작업의 결과로 반환된 데이터.error
: 변이 작업 중 발생한 에러 객체.isLoading
: 변이 작업이 진행 중인지 여부.isSuccess
: 변이 작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는지 여부.isError
: 변이 작업이 실패했는지 여부.reset
: 변이 작업의 상태를 초기화하는 함수.이 두 훅을 사용함으로써, React 애플리케이션에서 서버 상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복잡한 데이터 fetching 및 변이 로직을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실제 프로젝트에서 React Query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실습을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src/pages/About.jsx
아래는 About.jsx
파일에서 React Query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fetching하고, 변이를 수행하는 예제입니다.
import { useMutation, useQuery, useQueryClient } from '@tanstack/react-query';
import axios from 'axios';
import Button from '../components/Button';
function About() {
const queryClient = useQueryClient();
// useQuery를 사용하여 데이터 fetching
const { isLoading, error, data } = useQuery({
queryKey: ['canvases'],
queryFn: () =>
axios.get('http://localhost:8000/canvases/').then(res => res.data),
initialData: [],
});
// useMutation을 사용하여 데이터 생성
const { mutate: createNewCanvas, isLoading: isLoadingCreate } = useMutation({
mutationFn: newCanvas =>
axios.post('http://localhost:8000/canvases/', newCanvas),
onSuccess: () => {
//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생성되면 'canvases' 쿼리를 무효화하여 데이터를 다시 fetching
queryClient.invalidateQueries(['canvases']);
},
});
// 버튼 클릭 시 새로운 캔버스 생성
const handleCreate = () => {
createNewCanvas({ title: 'new canvas' });
};
return (
<div>
<h2 className="text-3xl">useQuery</h2>
{isLoading && <p>...Loading</p>}
{error && <p className="text-red-700">{error.message}</p>}
{data.map(item => (
<li key={item.id}>{item.title}</li>
))}
<h2 className="text-3xl">useMutation</h2>
{isLoadingCreate && <p>...Loading</p>}
<Button onClick={handleCreate}>등록</Button>
</div>
);
}
export default About;
설명:
useQuery
사용:
queryKey
: ['canvases']로 설정하여 이 쿼리를 고유하게 식별합니다.queryFn
: API 엔드포인트에서 데이터를 fetching하는 함수입니다.initialData
: 초기 데이터를 빈 배열로 설정하여, 데이터가 로드되기 전에도 빈 리스트를 렌더링합니다.isLoading
: 데이터가 로딩 중인지 여부를 나타냅니다.error
: 에러가 발생했을 때 에러 메시지를 표시합니다.data
: fetching된 데이터를 리스트 형태로 출력합니다.useMutation
사용:
mutationFn
: 새로운 캔버스를 생성하기 위해 API에 POST 요청을 보내는 함수입니다.onSuccess
: 변이 작업이 성공하면 'canvases' 쿼리를 무효화하여 최신 데이터를 다시 fetching하도록 합니다.mutate
: createNewCanvas
로 이름을 변경하여, 새로운 캔버스 생성을 트리거하는 함수입니다.isLoadingCreate
: 변이 작업이 진행 중인지 여부를 나타냅니다.handleCreate
: 버튼 클릭 시 createNewCanvas
를 호출하여 새로운 캔버스를 생성합니다.이번 포스트에서는 React Query의 소개와 주요 기능, 설치 방법, 핵심 훅인 useQuery
와 useMutation
의 스펙 및 사용법, 그리고 실습 예제를 통해 React 애플리케이션에서 서버 상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React Query를 활용함으로써 데이터 fetching과 변이 작업을 간편하게 처리하고, 애플리케이션의 성능과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React 애플리케이션에서 서버 상태 관리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React Query를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React Query의 기본 사용법부터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방법까지 단계별로 설명합니다.
React Query를 프로젝트에 적용하기 위해 먼저 기본적인 사용법을 숙지해야 합니다. 주요 기능인 useQuery
와 useMutation
을 활용하여 데이터 fetching과 mutations을 관리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useQuery
를 사용한 데이터 Fetching 📄useQuery
는 서버에서 데이터를 가져오고, 그 데이터를 캐시하여 컴포넌트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훅입니다. 데이터 fetching 로직을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으며, 자동 리페칭과 캐싱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예시:
import { useQuery } from 'react-query';
import axios from 'axios';
function ExampleComponent() {
const { data, error, isLoading } = useQuery({
queryKey: 'todos', // 쿼리 키
queryFn: () => axios.get('/api/todos').then(res => res.data) // 쿼리 함수
});
if (isLoading) return <p>Loading...</p>;
if (error) return <p>Error: {error.message}</p>;
return (
<ul>
{data.map(todo => (
<li key={todo.id}>{todo.title}</li>
))}
</ul>
);
}
export default ExampleComponent;
설명:
queryKey
: 쿼리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키입니다. 동일한 queryKey
를 사용하는 쿼리는 동일한 캐시를 공유하게 됩니다.queryFn
: 데이터를 fetching하는 비동기 함수입니다. 이 예제에서는 Axios를 사용하여 /api/todos
엔드포인트에서 데이터를 가져옵니다.isLoading
과 error
를 통해 데이터 로딩 상태와 에러를 관리합니다.useMutation
을 사용한 데이터 Mutations 🔄useMutation
은 데이터를 생성, 수정, 삭제하는 등의 변이(mutation) 작업을 관리하기 위한 훅입니다. 서버에 데이터를 변경하는 요청을 보낼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변이 작업의 성공과 실패를 쉽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예시:
import { useMutation, useQueryClient } from 'react-query';
import axios from 'axios';
function AddTodo() {
const queryClient = useQueryClient();
const mutation = useMutation({
mutationFn: newTodo => axios.post('/api/todos', newTodo), // 변이 함수
onSuccess: () => {
//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추가되면 'todos' 쿼리를 무효화하여 최신 상태로 갱신
queryClient.invalidateQueries('todos');
},
});
const handleAdd = () => {
mutation.mutate({ title: 'New Todo' }); // 새로운 Todo 추가
};
return <button onClick={handleAdd}>Add Todo</button>;
}
export default AddTodo;
설명:
mutationFn
: 변이 작업을 수행하는 함수입니다. 이 예제에서는 새로운 Todo를 생성하기 위해 POST 요청을 보냅니다.onSuccess
: 변이 작업이 성공했을 때 호출되는 콜백 함수로, invalidateQueries
를 사용하여 관련 쿼리를 무효화하고 데이터를 다시 fetching합니다.mutate
: 변이 작업을 실행하는 함수로, 새로운 Todo 데이터를 인자로 전달합니다.React Query는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자동으로 다시 fetching하여 최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refetchInterval
옵션을 사용하여 특정 간격마다 데이터를 재요청할 수 있습니다.
예시:
import { useQuery } from 'react-query';
import axios from 'axios';
function AutoRefetchingExample() {
const { data, error, isLoading } = useQuery({
queryKey: 'todos', // 쿼리 키
queryFn: () => axios.get('/api/todos').then(res => res.data), // 쿼리 함수
refetchInterval: 5000, // 5초마다 자동으로 리페칭
});
if (isLoading) return <p>Loading...</p>;
if (error) return <p>Error: {error.message}</p>;
return (
<ul>
{data.map(todo => (
<li key={todo.id}>{todo.title}</li>
))}
</ul>
);
}
export default AutoRefetchingExample;
설명:
refetchInterval
: 데이터가 자동으로 다시 fetching되는 간격을 밀리초 단위로 설정합니다. 이 예제에서는 5초마다 데이터를 다시 요청합니다.React Query는 데이터를 캐시하여 불필요한 네트워크 요청을 줄이고,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staleTime
과 cacheTime
옵션을 사용하여 캐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예시:
import { useQuery } from 'react-query';
import axios from 'axios';
function CachingExample() {
const { data, error, isLoading } = useQuery({
queryKey: 'todos', // 쿼리 키
queryFn: () => axios.get('/api/todos').then(res => res.data), // 쿼리 함수
staleTime: 10000, // 10초 동안 캐시 데이터가 신선하게 유지됨
cacheTime: 300000, // 5분 동안 캐시된 데이터를 유지
});
if (isLoading) return <p>Loading...</p>;
if (error) return <p>Error: {error.message}</p>;
return (
<ul>
{data.map(todo => (
<li key={todo.id}>{todo.title}</li>
))}
</ul>
);
}
export default CachingExample;
설명:
staleTime
: 데이터가 신선하게 유지되는 시간을 설정합니다. 이 시간 동안은 데이터를 다시 fetching하지 않고 캐시된 데이터를 사용합니다.cacheTime
: 데이터가 캐시에 유지되는 시간을 설정합니다. 이 시간이 지나면 캐시가 삭제됩니다.React Query는 에러 발생 시 이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합니다. onError
콜백과 retry
옵션을 활용하여 에러 상황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예시:
import { useQuery } from 'react-query';
import axios from 'axios';
function ErrorHandlingExample() {
const { data, error, isLoading, refetch } = useQuery({
queryKey: 'todos',
queryFn: () => axios.get('/api/todos').then(res => res.data),
retry: 1, // 요청이 실패하면 1번 더 시도
onError: (err) => {
console.error('데이터를 가져오는 데 실패했습니다:', err.message);
}
});
if (isLoading) return <p>Loading...</p>;
if (error) return (
<div>
<p>Error: {error.message}</p>
<button onClick={() => refetch()}>Retry</button>
</div>
);
return (
<ul>
{data.map(todo => (
<li key={todo.id}>{todo.title}</li>
))}
</ul>
);
}
export default ErrorHandlingExample;
설명:
retry
: 요청이 실패했을 때 자동으로 재시도하는 횟수를 설정합니다. 이 예제에서는 1번 재시도합니다.onError
: 에러 발생 시 호출되는 콜백 함수로, 에러 메시지를 콘솔에 출력합니다.React Query의 기본 사용법을 익혔다면, 이제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해보겠습니다. 기존 코드를 리팩토링하여 React Query를 도입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합니다.
useQuery
를 사용한 데이터 Fetching 📄먼저, useQuery
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fetching하는 기본적인 예제를 살펴보겠습니다.
import { useQuery } from 'react-query';
import axios from 'axios';
function ExampleComponent() {
const { data, error, isLoading } = useQuery({
queryKey: 'todos', // 쿼리 키
queryFn: () => axios.get('/api/todos').then(res => res.data) // 쿼리 함수
});
if (isLoading) return <p>Loading...</p>;
if (error) return <p>Error: {error.message}</p>;
return (
<ul>
{data.map(todo => (
<li key={todo.id}>{todo.title}</li>
))}
</ul>
);
}
export default ExampleComponent;
useMutation
을 사용한 데이터 Mutations 🔄다음으로, useMutation
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생성하는 예제를 살펴보겠습니다.
import { useMutation, useQueryClient } from 'react-query';
import axios from 'axios';
function AddTodo() {
const queryClient = useQueryClient();
const mutation = useMutation({
mutationFn: newTodo => axios.post('/api/todos', newTodo), // 변이 함수
onSuccess: () => {
//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추가되면 'todos' 쿼리를 무효화하여 최신 상태로 갱신
queryClient.invalidateQueries('todos');
},
});
const handleAdd = () => {
mutation.mutate({ title: 'New Todo' }); // 새로운 Todo 추가
};
return <button onClick={handleAdd}>Add Todo</button>;
}
export default AddTodo;
React Query의 자동 리페칭 기능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import { useQuery } from 'react-query';
import axios from 'axios';
function AutoRefetchingExample() {
const { data, error, isLoading } = useQuery({
queryKey: 'todos', // 쿼리 키
queryFn: () => axios.get('/api/todos').then(res => res.data), // 쿼리 함수
refetchInterval: 5000, // 5초마다 자동으로 리페칭
});
if (isLoading) return <p>Loading...</p>;
if (error) return <p>Error: {error.message}</p>;
return (
<ul>
{data.map(todo => (
<li key={todo.id}>{todo.title}</li>
))}
</ul>
);
}
export default AutoRefetchingExample;
설명:
refetchInterval
: 데이터가 자동으로 다시 fetching되는 간격을 밀리초 단위로 설정합니다. 이 예제에서는 5초마다 데이터를 다시 요청합니다.React Query의 캐싱 기능을 활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import { useQuery } from 'react-query';
import axios from 'axios';
function CachingExample() {
const { data, error, isLoading } = useQuery({
queryKey: 'todos', // 쿼리 키
queryFn: () => axios.get('/api/todos').then(res => res.data), // 쿼리 함수
staleTime: 10000, // 10초 동안 캐시 데이터가 신선하게 유지됨
cacheTime: 300000, // 5분 동안 캐시된 데이터를 유지
});
if (isLoading) return <p>Loading...</p>;
if (error) return <p>Error: {error.message}</p>;
return (
<ul>
{data.map(todo => (
<li key={todo.id}>{todo.title}</li>
))}
</ul>
);
}
export default CachingExample;
설명:
staleTime
: 데이터가 신선하게 유지되는 시간을 설정합니다. 이 시간 동안은 데이터를 다시 fetching하지 않고 캐시된 데이터를 사용합니다.cacheTime
: 데이터가 캐시에 유지되는 시간을 설정합니다. 이 시간이 지나면 캐시가 삭제됩니다.React Query의 에러 핸들링 기능을 활용하여 에러 발생 시 사용자에게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import { useQuery } from 'react-query';
import axios from 'axios';
function ErrorHandlingExample() {
const { data, error, isLoading, refetch } = useQuery({
queryKey: 'todos',
queryFn: () => axios.get('/api/todos').then(res => res.data),
retry: 1, // 요청이 실패하면 1번 더 시도
onError: (err) => {
console.error('데이터를 가져오는 데 실패했습니다:', err.message);
}
});
if (isLoading) return <p>Loading...</p>;
if (error) return (
<div>
<p>Error: {error.message}</p>
<button onClick={() => refetch()}>Retry</button>
</div>
);
return (
<ul>
{data.map(todo => (
<li key={todo.id}>{todo.title}</li>
))}
</ul>
);
}
export default ErrorHandlingExample;
설명:
retry
: 요청이 실패했을 때 자동으로 재시도하는 횟수를 설정합니다. 이 예제에서는 1번 재시도합니다.onError
: 에러 발생 시 호출되는 콜백 함수로, 에러 메시지를 콘솔에 출력합니다.React Query의 기본 사용법을 익혔다면, 이제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해보겠습니다. 기존 코드를 리팩토링하여 React Query를 도입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합니다.
기존의 useApiRequest
훅을 사용한 코드 예제를 React Query를 사용하여 리팩토링해보겠습니다.
canvas.js
수정 📁먼저, API 요청을 관리하는 canvas.js
파일을 수정합니다.
import { canvases } from './http';
import { v4 as uuidv4 } from 'uuid';
import dayjs from 'dayjs';
export async function getCanvases(params) {
const payload = Object.assign(
{
_sort: 'lastModified',
_order: 'desc',
},
params,
);
const { data } = await canvases.get('/', { params: payload });
return data;
}
export function createCanvas() {
const newCanvas = {
title: uuidv4().substring(0, 4) + '_새로운 린 캔버스',
lastModified: dayjs().format('YYYY-MM-DD HH:mm:ss'),
category: '신규',
};
return canvases.post('/', newCanvas);
}
export async function deleteCanvas(id) {
await canvases.delete(`/${id}`);
}
export async function getCanvasById(id) {
const { data } = await canvases.get(`/${id}`);
return data;
}
// json-server
export async function updateTitle(id, title) {
/**
* post - 새로운 자원 생성
* put - 기존 자원 전체 업데이트 또는 새 자원 생성
* patch - 일부 수정
*/
await canvases.patch(`/${id}`, { title });
}
export async function updateCanvas(id, canvas) {
await canvases.put(`/${id}`, canvas);
}
설명:
getCanvases
: 특정 파라미터를 받아 캔버스 데이터를 fetching합니다.createCanvas
: 새로운 캔버스를 생성하는 함수입니다.deleteCanvas
: 특정 캔버스를 삭제하는 함수입니다.getCanvasById
: 특정 ID를 가진 캔버스를 fetching하는 함수입니다.updateTitle
& updateCanvas
: 캔버스의 제목을 업데이트하거나 전체 캔버스를 업데이트하는 함수입니다.이제 react-query
를 사용하여 Home.jsx
파일을 리팩토링해보겠습니다.
src/pages/Home.jsx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import { createCanvas, deleteCanvas, getCanvases } from '../api/canvas';
import CanvasList from '../components/CanvasList';
import SearchBar from '../components/SearchBar';
import ViewToggle from '../components/ViewToggle';
import Loading from '../components/Loading';
import Error from '../components/Error';
import Button from '../components/Button';
import { useMutation, useQuery, useQueryClient } from '@tanstack/react-query';
function Home() {
const [searchText, setSearchText] = useState('');
const [isGridView, setIsGridView] = useState(true);
const queryClient = useQueryClient();
// 1] 데이터 조회 - useQuery 사용
const { data, isLoading, error, refetch } = useQuery({
queryKey: ['canvases', searchText],
queryFn: () => getCanvases({ title_like: searchText }),
initialData: [],
});
// 2] 데이터 생성 - useMutation 사용
const { mutate: createNewCanvas, isLoading: isLoadingCreate } = useMutation({
mutationFn: createCanvas,
onSuccess: () => queryClient.invalidateQueries(['canvases']),
onError: err => alert(err.message),
});
// 3] 데이터 삭제 - useMutation 사용
const { mutate: deleteCanvasMutation } = useMutation({
mutationFn: deleteCanvas,
onSuccess: () => queryClient.invalidateQueries(['canvases']),
onError: err => alert(err.message),
});
const handleDeleteItem = async id => {
// if (confirm('삭제 하시겠습니까?') === false) {
// return;
// }
deleteCanvasMutation(id);
};
const handleCreateCanvas = async () => {
createNewCanvas();
};
return (
<>
<div className="mb-6 flex flex-col sm:flex-row items-center justify-between">
<SearchBar searchText={searchText} setSearchText={setSearchText} />
<ViewToggle isGridView={isGridView} setIsGridView={setIsGridView} />
</div>
<div className="flex justify-end mb-6">
<Button onClick={handleCreateCanvas} loading={isLoadingCreate}>
등록하기
</Button>
</div>
{isLoading && <Loading />}
{error && <Error message={error.message} onRetry={refetch} />}
{!isLoading && !error && (
<CanvasList
filteredData={data}
isGridView={isGridView}
searchText={searchText}
onDeleteItem={handleDeleteItem}
/>
)}
</>
);
}
export default Home;
설명:
데이터 조회 (useQuery
):
queryKey
: ['canvases', searchText]
로 설정하여 검색 텍스트에 따라 쿼리를 고유하게 식별합니다.queryFn
: getCanvases
함수를 호출하여 데이터를 fetching합니다.initialData
: 초기 데이터를 빈 배열로 설정하여, 데이터 로딩 전에도 빈 리스트를 렌더링할 수 있습니다.데이터 생성 (useMutation
):
mutationFn
: createCanvas
함수를 사용하여 새로운 캔버스를 생성합니다.onSuccess
: 변이 작업이 성공하면 invalidateQueries
를 호출하여 ['canvases']
쿼리를 무효화하고 데이터를 다시 fetching합니다.onError
: 변이 작업이 실패하면 에러 메시지를 알림으로 표시합니다.데이터 삭제 (useMutation
):
mutationFn
: deleteCanvas
함수를 사용하여 특정 캔버스를 삭제합니다.onSuccess
: 변이 작업이 성공하면 invalidateQueries
를 호출하여 ['canvases']
쿼리를 무효화하고 데이터를 다시 fetching합니다.onError
: 변이 작업이 실패하면 에러 메시지를 알림으로 표시합니다.핸들러 함수:
handleDeleteItem
: 특정 캔버스를 삭제하는 핸들러 함수로, deleteCanvasMutation
을 호출하여 삭제 작업을 수행합니다.handleCreateCanvas
: 새로운 캔버스를 생성하는 핸들러 함수로, createNewCanvas
를 호출하여 생성 작업을 수행합니다.컴포넌트 렌더링:
SearchBar
와 ViewToggle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검색 텍스트와 뷰 방식을 관리합니다.등록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새로운 캔버스를 생성합니다.isLoading
과 error
상태에 따라 로딩 스피너나 에러 메시지를 표시합니다.CanvasList
컴포넌트를 통해 캔버스를 표시합니다.React Query를 사용하면 데이터 fetching과 mutations을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기본적인 사용법부터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하는 방법까지 살펴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