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2 Instance를 생성하여 Public IPv4주소를 이용했다 !
오늘은 더이상 이용할 일이 없어 껐다가 다음 날 다시 켰는데..!
그동안 사용하던 IP주소가 아니야 ..?
그럼 도메인에 설정해 놓은 A레코드 IP주소를 또 변경해야하고, ssh접속을 하던 팀원들에게는 또 IP주소를 알려줘야하고 .. 😱
IP주소를 고정하고싶어 ? 그럼 Elastic IP를 설정해봐 !!
Elastic IP란?
- 동적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해 고안된 정적 IPv4 주소이다.
- AWS 계정에 할당되며, 릴리스할 때까지 유지된다.
- 인스턴스나 네트워크에 연결 가능하며, 연결 해제 시에도 요금이 부과되니 사용하지 않으면 삭제를 해야한다.
참고) https://docs.aws.amazon.com/ko_kr/AWSEC2/latest/UserGuide/elastic-ip-addresses-eip.html
꼭 Elastic IP를 사용해야하나 ?
내가 생각하기에는 그렇지 않다!
Elastic IP가 필요하지 않은 상황
- ec2를 중지하지 않는 이상 public ipv4의 주소는 변하지 않는다.(중지하지 않았지만 사용하지 않는 시간동안에는 요금청구가 계속 되겠지만,,)
- 혼자서 개발을 진행하거나 외부 도메인을 연결하지 않는 이상 고정적인 ip로 접근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elastic ip로 불필요한 지출을 추가할 필요가 없다.
Elastic IP의 사용이 필요한 상황
- 외부 도메인 연결이 필요하다면, IP주소가 바뀔 때 마다 DNS설정에서 A레코드를 업데이트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 인스턴스를 자주 껐다 켰다 하는 경우나 팀원이 SSH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서버에 자주 접속하는 경우에도 IP설정을 다시해야하는 불편함이 있기에 Elastic IP를 사용하여 IP주소를 고정하는게 좋다.
썸네일 멋지시네요^^~ 영감받구갑니다^^
좋은포스팅감사해요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