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보나치 수란, F(0) = 0, F(1) = 1일 때, 1 이상의 n에 대하여 F(n) = F(n-1) + F(n-2) 가 적용되는 수를 말한다.
2이상의 n이 입력될 때, n번째 피보나치 수를 1234567로 나눈 나머지를 반환하라
n | return |
---|---|
3 | 2 |
5 | 5 |
1) 이전 값을 활용할 수 있도록 memorization 배열을 선언한다.
2) n 값이 1 또는 2인 경우, 0을 반환한다.
3) 그 이상의 값일 경우, 해당 n 번째에 기억된 값을 반환한다.
4) 합동식에 의거하여 형태로 식을 구성한다.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static int[] dp;
private static int fibo(int n){
if (n==1 || n==2) return 1;
if (dp[n] != 0) return dp[n];
dp[n] = (fibo(n-1) + fibo(n-2))%1234567;
return dp[n];
}
public int solution(int n) {
dp = new int[n+1];
int answer = fibo(n);
return answer;
}
}
처음엔 재귀함수만을 사용하여, 문제를 푸고자 했다. 다만, 입력값 n이 10만 이하이기 때문에 시간 초과가 발생한다.
이전 계산값을 사용하여 계산 횟수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DP의 하향식을 사용하여 코드를 작성했다. 하지만, int
의 범위인 214,7483,647을 넘게 되면서 이상한 값이 계산되게 된다.
그렇다면, int
보다 범위가 큰 BigInteger를 사용하면 어떨까?라는 생각으로 구현하였으나 편법일 뿐 문제가 원하는 의도된 풀이가 아닌 거 같았다.
합동식에는 재밌는 성질이 많다. 이 문제에선
이라는 성질을 사용하였고, 이로 인해 각 재귀함수마다 %1234567의 값이 계산되며, int
에서도 오버플로우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DP를 아는 개념이었기 첫 번째 시도 이후 바로 생각났지만, 오버플로우에서 문제가 생길 줄 몰랐다. 문제의 의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함을 다시 한 번 느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