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다운은 일반 텍스트에 간단한 마크업 기호를 붙여 글을 꾸밀 수 있는 형식을 말합니다.
웹 개발자에게 가장 익숙한 마크업 언어는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일텐데요. 마크다운은 이를 경량화한 것입니다.
간단한 규칙은 아래와 같습니다.
# 제목
: 가장 큰 제목. HTML에서는 <h1>
에 해당합니다.## 제목
: 두번째 큰 제목. HTML에서는 <h2>
에 해당합니다.### 제목
: 세번째 큰 제목. HTML에서는 <h3>
에 해당합니다.#### 제목
: 네번째 큰 제목. HTML에서는 <h4>
에 해당합니다.##### 제목
: 다섯번째 큰 제목. HTML에서는 <h5>
에 해당합니다.###### 제목
: 여섯번째 큰 제목. HTML에서는 <h6>
에 해당합니다.> 인용문
: 인용 블럭. HTML에서는 BLOCKQUOTE
에 해당합니다.- 항목
: 순서 없는 목록. HTML에서는 <ul>
<li>
에 해당합니다.* 항목
: 순서 없는 목록. HTML에서는 <ul>
<li>
에 해당합니다.1. 항목
: 순서 있는 목록. HTML에서는 <ol>
<li>
에 해당합니다.코드
: 코드블럭. HTML에서는 <code>
에 해당합니다.여러줄 코드 내용
: 코드블럭. HTML에서는 <pre><code>
에 해당합니다.---
: 수평선. HTML에서는 <hr >
에 해당합니다.[링크이름](링크주소)
: 링크. HTML에서는 <a>
태그에 해당합니다.**강조**
: 강조 구문. HTML에서는 <strong>
에 해당합니다.__이탤릭__
: 이탤릭 구문. HTML에서는 <ins>
에 해당합니다.~~취소~~
: 이탤릭 구문. HTML에서는 <del>
에 해당합니다.
: 이미지. HTML에서는 <img>
에 해당합니다.블로그는 "회원"이 "게시글"을 "생성","수정","삭제" 할 수 있는 웹 애플리케이션입니다.
회원은 블로그 서비스에 가입한 사람을 말합니다.
게시글은 글을 쓸 수 있는 공간입니다.
회원이 쓴 글은 개별 공간에 게시됩니다.
마크다운을 쓰는 사람들 대부분은 IT업에 종사하는 사람들, 그 중에서도 개발자들이 많습니다. 우리는 마크다운으로 블로그를 운영하려고 하는 개발자들 중 일부의 니즈를 잡아서 사용하는 서비스를 만들려고 합니다.
어떤 니즈를 잡아야 할까요?
개발자들이 개발 블로그를 쓰는 가장 큰 이유는 그것이 잡 커리어에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블로그에 글을 씀으로써 사람들이 유입되고, 인터넷상에서 점점 특정 분야에 이름이 알려집니다. 이는 이직 등에 큰 도움이 되죠.
현재 블로그 서비스는 대부분 무료로 운영됩니다. 포털이 운영하는 블로그 시스템은 포털의 에코시스템을 강화시켜주고 컨텐츠를 확보하는 역할을 하므로 포털이 투자할 이유가 충분하지만, 개인이 운영하는 시스템의 경우에는 컨텐츠만으로 어떤 것을 해야 할 지 명확하지 않습니다.
이에 크게 다섯가지 정도의 수익 모델을 생각해 보았습니다.
마크다운을 이용해서 글을 쓰는 서비스는 기존에도 여럿 있습니다. 최근에는 티스토리도 마크다운을 이용해서 글을 쓸 수 있게 되었고, 그 이전에는 github pages 열풍도 있었죠. 몇년쯤 전에는 미디엄이 유행이었다가, 최근에는 미디엄을 한국판으로 만든 velog가 개발자들 사이에 많이 쓰입니다.
이 수많은 블로그 시스템 속에서 마크다운 블로그가 가질 수 있는 장점은 무엇일까요? GETTING REAL에서 말하듯이 그저 기능이 많은 건 아닐 겁니다. 개발자들은 기묘한 존재라서, 매사를 귀찮아하기 때문에 복잡한 절차를 줄이기 위해 1분의 귀찮음을 해결하고자 6시간을 투자해서 시스템을 만들기도 하니까요.
마크다운 블로그는 아래의 컨셉을 가집니다.
우리는 이번 챕터를 통해 웹 서비스가 어떤 과정을 통해 만들어지는지 알아갑니다. 기술적인 부분은 이미 전 장들에서 다루었고, 필요한 부분들만 추가적으로 설명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