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이그나이터4 클라우드에 배포하기 - 1 -클라우드 배포의 장단점

고은연·2021년 11월 12일
0

클라우드란 직접 서버를 IDC 등에 두는 것이 아니라 가상의 서버 리소스를 클라우드 회사(AWS, Azure..등)에서 임대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어플리케이션을 클라우드에 배포하게 되면, 여러 장단점이 있습니다.

장점

  • 서버 관리에 대한 스트레스가 줄어듭니다. 서버를 24시간동안 무중단 상태로 장애 없이 실행시킨다는 것은 의외로 많은 스트레스를 유발합니다.
  • 인프라에 대해 완벽하게 이해하고 있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네트워크나 장비 등 인프라 분야도 굉장히 복잡합니다. 이 부분을 모두 알 필요 없이 우리가 개발과 운영에 필요한 지식만을 습득하면 되므로 상대적으로 부담이 덜 합니다.
  • 순간적으로 트래픽이 몰리거나, 트래픽이 줄어드는 상황에서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 가상 서버는 OS를 혼자 사용하므로 PHP의 혼란스러운 설정을 마음대로 할 수 있습니다.
  • 서버가 몇 분 내에 준비됩니다. 이전에는 웹 서비스를 하려면 웹 호스팅을 하거나, 직접 IDC에 서버를 두고 관리하는 수밖에 없었습니다. IDC에 서버를 두는 경우 최소한 2주의 시간이 걸립니다. 몇분 VS 2주는 엄청난 차이죠.

단점

  • 클라우드 서비스 중 lightsail 은 가상 머신(virtual machine)입니다. 텅 빈 가상 컴퓨터를 제공해주는 개념이므로 기초적인 리눅스 사용법이나 PHP 설치와 설정, 그 외 서버 운영의 노하우가 없다면 어려울 수 있습니다.
  • 돈이 듭니다. 서버가 IDC에 있는 것에 비교하면 클라우드는 비용이 더 저렴할 수도, 아닐 수도 있습니다. 본디 AWS의 가상 서버인 EC2는 사용량의 계산이 엄청나게 복잡했고, 이를 단순화하기 위해 나온 것이 lightsail 입니다. 그렇다고 해도 처음 접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큰 분들은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 웹 호스팅보다 어렵습니다. 웹 호스팅은 단순히 파일을 업로드하는 것만으로 동작하지만, 클라우드는 설정해야 할 일이 훨씬 더 많습니다.

우리는 AWS의 lightsail 이라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해서 클라우드에 배포하겠습니다.

만약 선호하는 클라우드 서비스가 있으시다면, MS Azure이든, 국내 회사의 클라우드이든 관계없습니다. 기초적인 사용법은 동일하므로 개념만 익히신다면 어디서든 적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profile
중년 아저씨. 10 + n년차 백엔드 개발자. 스타트업과 창업, 솔로프리너와 1인 기업에 관심 많아요.

2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1년 12월 10일

라이트세일 담배 한갑 가격때라서 싸서 좋아요~ 지금 잘 쓰곤하는데 대신에 가끔씩 트래픽장애 가 보이긴한데..
리셋 해두면 괜찮아지더라구요~ 아니면 오라클이 좀 괜찮을듯해요

1개의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