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의존성 주입과 IoC (Dependency Injection)

bluewhale·2021년 5월 20일
0

Spring

목록 보기
1/9
post-custom-banner

이 글은 백기선님의 Inflearn 강좌 예제로 배우는 스프링 입문(개정판)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Dependency Injection

DI는 의존성 주입을 의미한다. 의존성 주입이란 하나의 객체 A가 다른 객체 B를 사용(의존)해야 할 때, A의 코드 내부에서 B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외부(IoC 컨테이너)에서 B를 만들고 생성자 혹은 setter 메서드 등을 활용해 A 내부로 주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은 모듈 간의 결합을 낮춰 수정이 발생하였을 때 코드 변경지점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version of Control

IoC는 제어권 역전으로, 일반적으로 개발자가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프레임워크가 프로그램의 흐름을 주도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프로그램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객체 생성(A) -> 내부에서 의존성 객체 생성(B) -> 의존성 객체(B)의 메서드를 호출

class OwnerController {
    private OwnerRepository repository = new OwnerRepository();
}

그러나, IoC가 적용된 경우에는 프로그램의 흐름이 다음과 같은 형태로 진행된다. 스프링에서는 모든 의존성 객체(Bean)를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직접 관리하며, 필요한 곳에 주입해주는 역할을 한다.

객체 생성(A, B) -> 의존성 객체 주입(B) -> 의존성 객체(B)의 메서드 호출

class OwnerController {
    private final OwnerRepository repository;

    public OwnerController(OwnerRepository repository) {
        this.repository = repository;
    }
}

 

Spring Container

스프링 컨테이너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사용되는 의존성 객체(이하 Bean)들을 생성하고 적절한 곳에 주입하는 등 Bean의 생애주기를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스프링 컨테이너의 종류는 BeanFactoryApplicationContext 2가지가 있다.

BeanFactory

BeanFactory는 단순한 형태의 스프링 컨테이너로, Bean 객체를 등록, 생성, 조회, 반환 하는 기본적인 작업만 수행한다. BeanFactoryBean 객체가 실제로 요구되는 시점에 이를 생성하는 Lazy Loding이 특징이다.

ApplicationContext

ApplicationContextBeanFactory의 확장판으로,Transaction 관리, AOP(Proxy) 적용과 같이 부가적인 기능들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스프링 컨테이너로 ApplicationContext가 사용된다.

BeanFactory와 달리, ApplicationContext는 생성되는 시점에 Bean객체를 모두 생성하는 Pre-loading 방식을 사용한다.

 

Bean

Bean은 IoC 컨트롤러가 생성/관리하여 자동으로 DI를 제공하는 객체를 의미한다. 클래스를 Bean으로 등록하기 위한 방법은 크게 2가지가 있다.

Component Scanning

@ComponentScan 어노테이션은 하위 패키지를 탐색하며 @Component 어노테이션이 붙어있는 클래스를 찾아 Bean으로 등록하라고 지시하는 역할을 한다.스프링 어플리케이션의 메인 함수 위에 붙어있는 @SpringBootApplication 어노테이션에는 @ComponentScan 어노테이션이 포함되어 있다.

@Component 어노테이션 포함된 어노테이션은 대표적으로 @Controller, @Repository, @Service, @Configuration등이 있다.

직접 등록

xml 혹은 자바 설정파일을 사용하여 직접 Bean을 등록할 수 있다. 동일한 인터페이스 상에서 구현체가 종종 바뀌는 경우, 자바 설정 파일에 직접 등록하는 방식을 사용하면 변경지점을 최소화할 수 있어서 매우 유용하다.

@Configuration
public class SampleConfig {

    @Bean
    public SampleController sampleController() {
        return new SampleController();
    }
}

 

@Autowired

@Autowired는 스프링 컨테이너에게 의존성을 주입해달라고 지시하는 어노테이션이다. @Autowired를 사용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다.

생성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객체를 생성 시점에 강제할 수 있기 때문에, 생성자를 사용하여 의존성을 주입하는 방법은 Spring 공식 레퍼런스에서 권장하는 방법이다. 단, 순환참조가 발생하는 경우는 예외적으로 아래의 방법을 활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Spring 4.3버전 부터는 Bean으로 등록된 객체에 유일한 생성자에 매개변수들이 Bean으로 등록되어 있다면, IoC 컨트롤러에서 @Autowired 어노테이션을 생략해도 된다.

@Controller
class OwnerController {
    
    private final OwnerRepository owners;
    
    @Autowired
    public OwnerController(OwnerRepository owners) {
        this.owners = owners;
    }
}

필드

의존성 주입을 원하는 필드에 @Autowired를 추가하는 방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테스트 코드를 작성할 때는, 코드의 간결성을 위해 이 방식을 활용하기도 한다.

@Controller
class OwnerController {
    
    @Autowired
    private OwnerRepository owners;
    
    ...
}

Setter

@Controller
class OwnerController {
    
    private OwnerRepository owners;

    @Autowired
    public void setOwners(OwnerRepository owners) {
        this.owners = owners;
    }
}
profile
안녕하세요
post-custom-bann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