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차 네트워크

쿠우·2022년 4월 13일
0

*서버 <--> 클라이언트 ==> 모두 역할로 구분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1) 클라이언트

   -요청을 보내는 자 
   -요청에 대한 응답을 받는 자 

(2) 서버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고 처리한다. 
   -응답을 생성하고 송신하여준다. 

*웹

(1) 클라이언트(웹브라우저) ---서버(웹서버,WAS,....) 모델의 대표적인 케이스

        (클라이언트 서버 모델  C/S모델)

(2)Torrent (클라이언트 - 서버 역할을 동시에 수행) => P2P model

1. netcat - 서버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을 쉽게 만들어주는 툴

(명령프롬프트에서 명령어)
> nc -L -p 7777 

2. telnet - 원격접속화면 프로그램

(프로그램제거 들어가서 윈도우 기능 켜기끄기 중 텔넷 클라이언트 켜기)

> telnet <IP주소> <port>

3. IP주소

  • 여러분이 가지고 계신 PC(노트북, 태블릿, 스마트폰 등)의 주소!!
  • 비유: ~시 ~ APT 1100동까지의 의미!
    지정된 IP주소를 가진 PC까지는 도달가능하게 하는 주소
    ipv4 4등분된 주소
    ipv6 6등분된 세로나온 주소

4. Port(항구)

  • 동까지 안내된 후 xxx 호수의 의미

5.내 PC가 네이버의 PC에 접속되려면,

(1)네이버 PC까지 도달가능하려면 --> IP주소
(2)네이버 PC의 OS위에 서버프로그램 -->port 번호 필요

6. DNS(Domain Name Service) 서비스에 대한 이해

  • 도메인명 ->IP주소로 변환
  • IP주소 -> 도메인명으로 역변환

7. 네트워크방식 (서버프로그램당 port는 1개 pc의 주소는 여러개)

가. 유선 네트워크
나. 무선 네트워크 

8. 지정된 IP주소에 도달가능한지 확인할 수 있어야 함!

 >ping ip주소

9.지정된 IP주소와 Port번호까지 두개를 두개를 동시에 확인하는 방법:

telnet <ip주소> <port번호>

*한번 연결되면, 빠져나올 때 ctrl + ] 눌러라

10. 인터넷(InterNet - Inter-Networking)

  > 전 세계의 수많은 PC 및 장비들이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거대한 네트워크

11. WWW(World-Wide Web): W3

인터넷을 기반으로 그 위에서 제공되는 수많은 서비스 중에 "하나" 일 뿐
특히, 정보의 제공(web 1.0)과 상호작용(web 2.0)을 목적으로 하는 서비스


이야 > 이표시가 초록색칸 만드는 표시였구나 ㅋㅋㅋ 오늘은 강사님이 초심을 잃은 거 같다구 단체로 문제풀고 시작하자했다.. 다행히 진도는 네트워크부터 시작해서 io입출력하고 다시 돌아간다고하니 후... 오늘은 좀 편했다.

profile
일단 흐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