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git--version
2. git init
- git이 관리할 수 있도록 진행하고 git software가 작업폴더를 감시하기 시작합니다.
- git내역에서 관리하지 말아야하거나, 포함될 필요성이 없는 것들은.gitignore를 사용해서 진행됩니다.
3. git commit
- commit 는 version = 타임캡슐과 같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4. git add
타임캡슐에 파일들을 담을 때는 git add를 사용한다.
- git add a만 하면 a만 타임캡슐에 담긴다. 하지만 git add . 를 하면 모든 파일들이 담깁니다.
- 모든 파일들을 이제 git add . 으로 타임캡슐 안에 담아놓은 상태에서 타임캡슐을 땅에 뭍을 차례입니다.
git add. : git에 현재 작업하는 모든 것을 추가한다. 라는 의미
git add (파일명).txt or py or js ...etc : 해당 작업한 파일만 추가
타임캡슐을 땅에 뭍을 때는 git commit을 사용해서 뭍는다.
(즉, 새로운 version을 만든다)
git commit -> i -> frist commit -> esc -> :wq (저장하고 빠져나오기)
git commit -m " frist commit"으로 하면 저장하고 빠져나옵니다.
add와 commit을 한번에 하는 법 -> git commit -am " 메시지"
5. gif diff
- gif diff는 상세하게 status항목의 내용들을 보여줍니다.
- :q 는 종료를 의미합니다.
6. 여러개의 branch(차원)이 필요할 경우
1) git branch add-coach -> git branch를 해서 현재
branch의 종류를 확인한다. -> git switch add-coach를 해서 branch를 변경합니다.
git difftool 로 하면 시작으로 수정된 사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7. git merge
- git merge --squash : main branch에 새로운commit를 추가합니다.
git branch -M main : default인 master에서 기본 브랜치가 main으로 변경됩니다.
8. git log
- git log : 해당 브랜치의 commit기록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9. git push
git push origin 브랜치 : 브랜치를 이제 github과 같은 곳에 저장을 합니다.
git push origin -u 브랜치 : 매번 push할 경우 사용되는 것으로 origin 브랜치명을 작성하지 않고 git push만 하여도 정상적으로 진행합니다.
10. git remote
git remote remove origin : 기존 리포지토리 remote를 제거합니다.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계정/리포지토리 : 새 리포지토리 remote추가 됩니다.
요약 정리
- git init -> 버전관리 시작
- ls -a -> 숨김 파일에 .git 있는지 확인
- git remote add origin git주소 -> 레포지토리 연결 ( git주소는 레포지토리 code 클릭해서 가져오기 )
- git remote -v -> 레포지토리 연결되었는지 확인
- git add . -> 스테이지 추가
- git status -> 스테이지에 올라와있는 항목 확인
- git commit -m “메세지” -> 커밋
- git push origin 브랜치이름 -> github에 업로드
- git checkout 변경할 브랜치이름 -> 브랜치 변경
- git log -> 말그대로 깃 로그
- git log —online -> 깃 로그 한줄로 깔끔하게 보기
- git log —graph —online —all -> 깃 로그 그래프로 보기
- git merge 합칠브랜치명 -> main브랜치에 test브랜치를 합치고싶으면 main브랜치로 가서 git merge test 입력 (일반적인 브랜치 합치기)
- git merge --squash -> 그리 중요하지 않은 브랜치를 합치고 싶을 때(순간이동 개념)
- git restore 파일명 -> 최근 커밋 상태로 되돌리기
- git restore --source 커밋아이디 -> 특정 커밋 상태로 되돌리기
- git restore —staged -> 깃 스테이징 취소
- git revert 커밋아이디 -> 커밋 취소
- git reset —hard 커밋아이디 -> 기재한 커밋 아이디 시점으로 되돌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