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코드깎는노인" 채널 광고 및 홍보하는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았음을 알려드립니다.
유튜브보고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는 목적으로 사용됨을 알려드립니다. 문제가 있을 시 삭제합니다.
[블로그 작성 승인 허가함]
반복적으로 명령할 때 쓰이는 코드를 공부를 해보자!
바로 작성해보자!
while() {
console.log('Hello');
}
while(){}
반복적으로 사용할 때 쓰이는 코드다.
코드에서 ()
{}
있다. 이게 뭐냐면
()
안에 참이면 {}
안에 있는 코드들이 실행이 된다.
만약에 ()
안에 거짓이면 {}
안에 있는 코드들이 실행이 안된다.
예를 들어서 안녕하세요
라는 글자가 1000번 콘솔창에 나타나게 해줘야 한다면?
1 console.log('안녕하세요')
2 console.log('안녕하세요')
3 console.log('안녕하세요')
4 console.log('안녕하세요')
5 console.log('안녕하세요')
6 console.log('안녕하세요')
7 console.log('안녕하세요')
8 console.log('안녕하세요')
9 console.log('안녕하세요')
10 console.log('안녕하세요')
.
.
.
998 console.log('안녕하세요')
999 console.log('안녕하세요')
1000 console.log('안녕하세요')
그냥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console.log('안녕하세요')
라고 1000번 작성하면 된다.
위 예시의 코드는 똑같다. 하나의 코드로 우리가 원하는 만큼 실행시켜줄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반복시켜주고 싶은 코드 하나 작성하고 while(){}
으로 감싸준다.
()
는 결과가 참이거나 거짓이 되어야 한다.
{}
안에 있는 코드들이 실행시켜주고 싶으면 ()
가 참이어야 실행이 된다. 거짓은
실행이 안돼서 다음 코드로 넘어가서 실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