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t, 의존관계주입

=·2021년 7월 20일
0

spring에서의 TEST

테스트 메소드의 실행 순서는 일반적으로 보장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어떤 메소드를 먼저 실행할지 정해져 있지 않으므로 무작위 순서로 테스트를 돌렸을 때도 정상 작동해야 하기 때문이다.)

  • TDD (TEST 주도 개발)

    • 실무에서는 각 메소드마다 테스트 메소드를 만들어 각 기능들이 정상 동작하는지 체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TDD는 구현체를 만든 후, 잘 구현이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테스트 메소드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테스트 메소드를 먼저 작성한 뒤, 이 테스트 메소드를 통과하는 구현체를 만드는 방식의 개발이다.
  • @AfterEach : 각 테스트 메소드들이 끝날 때 마다 실행할 필요가 있는 테스트 메소드 앞에 붙여준다. (ex)다른 테스트 메소드에 의해 사용된 메모리 DB를 초기화 해주기 위해 사용)

  • @BeforeEach : 각 테스트 메소드들을 실행하기 전에 먼저 실행할 필요가 있는 테스트 메소드 앞에 붙여준다. (ex)의존성 주입(DI))

스프링 빈과 의존관계 주입

스프링은 스프링 빈을 통해 연관된 객체 간의 의존관계를 주입해준다.
주입된 빈은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된다. 스프링은 기본적으로 싱글톤으로 스프링 빈을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한다.
싱글톤 : 한 클래스에 대한 스프링 빈을 하나만 등록해서 그것을 여러 곳에서 공유한다. 즉 같은 스프링 빈이면 모두 같은 인스턴스이다.

  • 컴포넌트 스캔과 자동 의존관계 설정
    •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 해당 클래스를 스프링 빈으로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해준다. (@Component가 안에 포함된 어노테이션들이다)
    • @AutoWired : 이 어노테이션을 붙이면 스프링이 연관된 객체(스프링 빈)를 스프링컨테이너에서 찾아서 넣어준다. 즉 의존성을 자동으로 주입해준다.
  • 자바 코드로 직접 스프링 빈 등록
    • @Configuration : 직접 등록할 스프링 빈들이 들어있는 클래스에 앞에 붙여준다.
    • @Bean : 직접 스프링 빈으로 등록할 객체를 리턴하는 메소드 앞에 붙여준다.

의존관계 주입 방법 종류

DI에는 필드 주입, setter 주입, 생성자 주입 이렇게 3가지 방법이 있다. 의존관계가 실행중에
동적으로 변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므로 생성자 주입을 권장한다.

  • 실무에서는 주로 정형화된 컨트롤러, 서비스, 리포지토리 같은 코드는 컴포넌트 스캔을 사용한다.
    그리고 정형화 되지 않거나, 상황에 따라 구현 클래스를 변경해야 하면 설정을 통해 스프링 빈으로
    등록한다.
  • @Autowired 를 통한 DI는 스프링이 관리하는 객체에서만 동작한다. 스프링 빈으로 등록하지 않고 내가 직접 생성한 객체에서는 동작하지 않는다.
    [출처]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김영한)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