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SA 작성(팀)프로젝트 협업 환경 세팅API 구현프로젝트 와이어프레임 작성Node + MySQL 강의 듣기CODE 책 읽기(Chapter 20 ~ 21)BE-FE 통신 협업 언제쯤 할지?BE에서 CORS 설정하기이미 엎지러진 물에 너무 스트레스 받지 말고, 경
인프런 MySQL 기초 강의 수강 CODE CHAPTER 18 ~19 독서Node + MySQL 강의 환경 세팅CODE 책 (20 ~ 25) 타임라인 짜기WILNODE+ MYSQL 수강 완료하기 + 서버에 배포까지 해서 확인해보기프로젝트 협업(CORS 프론트 연결)개념
FE/BE 협업 타임라인 계획중간 멘토링MySQL in Node.js 공부 완료(CRUD)MySQL 공부 마무리(DB 설정정보, 정리정돈, 코드 정리정돈, SQL Injection)서버 배포해보기(MySQL)JOIN 공부 심화Sequelize의 JOIN 공부하기알고리즘
알고리즘 풀이서버 배포해보기(MySQL)Sequelize로 CRUD + MySQL 연결 + 서버 배포쿠키 ↔ 세션 로그인 방식 구현해보기MySQL 공부 마무리(DB 설정정보, 정리정돈, 코드 정리정돈, SQL Injection)JOIN 공부 심화FE/BE 통신 테스트(
Sequelize의 CRUD + 서버배포 매커니즘 체크(mySQL 서버와 연결해서, 소스코드 자체에서 DB만 생성하기)Node.js + MySQL/sequelize EC2 Instance에 배포하기 포스트프로젝트 FE 트러블 슈팅 협업MySQL 공부 마무리(1)DB 관
README 파일유투브 촬영MySQL 공부 마무리(DB 설정정보, 정리정돈, 코드 정리정돈, SQL Injection)알고리즘 풀이프로젝트 S/A 작성API 명세서 작성FE <-> BE 협업 타임라인 계획(가능하다면)BE 프로젝트 환경 합의(DB, 깃 repo,
3주간의 주특기(node.js) 학습을 끝내고, 이번주에는 드디어 처음으로 FE와 BE로 역할을 명확히 구분해서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었다. FE와 BE로 역할이 명확히 구분해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는 것 자체에서, 내가 점점 더 한명의 BE 개발자가 되어가고 있음을 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