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변수란?

박승현·2022년 3월 3일
0

JAVA

목록 보기
1/16

변수

변수는 프로그램의 처리 과정에서 데이터를 담아둘 수 있는 메모리의 공간을 의미한다. 하나의 변수에는 하나의 값만 저장할 수 있고, 이값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변할 수 있는 값, 즉 변수라고 부른다.

1. 변수의 선언과 초기화

변수의 선언은 다음과 같다.

int a;
// int : 데이터 타입,  a : 변수명
int a = 1;
// = : 대입 연산자, 1 : 초기값

(1). 데이터 타입 : 변수에 기억시킬 데이터의 형태를 의미한다.
(2). 변수명 : 기억장소 주소를 대신하여 사용할 이름이다.
(3). 초기 값 : 변수를 선언한 후 기억시킬 값입니다.

  • 변수 이름은 숫자로 시작할 수 없고, 특수문자는 '$'과 '_'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옳은 예틀린예
    name22name
    $temp#temp

2. 데이터 타입(Data type)

데이터에는 정수, 실수, 문자, 논리(참 또는 거짓) 등이 있는데 각각의 데이터를 담을 수 있는 변수의 종류가 다르다. 그래서 데이터 타입으로 어떤 데이터를 담는 변수인지 표시한다. 데이터 타입에는 정수형, 실수형, 문자형, 논리형이 있다.

(1). 정수형 데이터 타입 : 정수형 데이터 타입은 정수를 저장할 때 사용하는 데이터 타입이다. 정수형 데이터 타입에는 크기별로 byte, short, int, long 네가지가 있습니다.

자료형바이트비트저장 가능한 값의 범위
byte18-128 ~ 127
short216-32,768 ~ 32,767
int432-2,147,483,648 ~ 2,147,483,647
long864-2^63 ~ 2^63-1

(2). 실수형 데이터 타입 : 실수형 데이터 타입은 실수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타입이며 floatdouble이 있다.

자료형바이트비트저장 가능한 값의 범위오차범위
float4321.4 X 10^-45 ~ 3.4 X 10^38소수 이하 6자리
double8644.9 X 10^-324 ~ 1.8 X 10^308소수 이하 15자리

(3).문자형 데이터 타입:문자형 데이터 타입은 문자를 담은 수 있는 데이터 타입이며 char가 있습니다. char형은 변수 당 하나의 문자를 저장합니다.

자료형바이트비트저장 가능한 값의 범위
char2160~2^16-1 (유니코드 0~65535)

(4).논리형 데이터 타입:논리형 데이터 타입에는 truefalse를 저장하는 자료형인 boolean이 있다. 즉, 0과1 로만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실제로 필요한 메모리는 1bit이지만 자바에서 데이터를 다루는 최소 크기는 byte이기 때문에 실제로는 1byte의 크기가 있다. 참고로 자바에서는 대소문자가 구별되기 때문에 true와 True는 다르게 취급하므로 True를 대입할 경우 오류가 발생한다.

3. 상수의 선언

상수는 변경할 수 없는 고정된 값이다.

public class Prca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inal double PI = 3.14;
    PI = 3.15; // 에러발생
    }
}
profile
그냥 해보자 안되더라도 해보자 끝까지 해보자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