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OSI 7계층과 네트워크 장비

SuJeong.K·2025년 9월 6일
0
post-thumbnail

1. OSI 7계층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7계층은 네트워크 통신을 계층별로 나눈 모델로, 각 계층마다 역할이 다르다.

  • 물리계층(1계층) : 전기적/물리적 신호 전달
  • 데이터 링크계층(2계층) : MAC 주소 기반의 프레임 전송
  • 네트워크계층(3계층) : IP 주소 기반의 패킷 전송
  • 전송계층(4계층) : TCP/UDP 같은 데이터 전송 신뢰성 관리
  • 세션계층(5계층) : 통신 연결 관리
  • 표현계층(6계층) : 데이터 형식 변환 및 암호화
  • 응용계층(7계층) : 사용자 애플리케이션과 직접 상호작용

2. 리피터 (Repeater)

  • 계층 : OSI 1계층
  • 역할 : 감쇠한 신호를 증폭하여 송출, LAN 총 연장 거리 증가
  • 특징 :
    단순 신호 증폭 기능으로, 동일 경로에 최대 4개까지 사용 가능함
    단, 과다 사용 시 신호 왜곡으로 데이터 해석이 불가능함

3. 브리지 (Bridge)

  • 계층 : OSI 2계층
  • 역할 : 서로 다른 세그먼트 연결 (세그먼트 : 단일 기기에서 송출한 패킷이 도달 가능한 네트워크 범위)
  • 특징 :
    수신된 패킷 검사 후 발신지/수신지의 MAC 주소를 기억함
    불필요한 패킷은 전달하지 않아 트래픽이 감소됨
    세그먼트 : 단일 기기에서 송출한 패킷이 도달 가능한 네트워크 범위

4. 라우터 (Router)

  • 계층 : OSI 3계층
  • 역할 : 서로 다른 네트워크 연결
  • 특징 :
    목적지가 LAN 내부면 내부에서 전달함
    외부라면 해당 네트워크 담당 라우터로 전송함
    직접 전달 불가 시 더 가까운 라우터로 릴레이

5. 허브 (Hub)

  • 계층 : OSI 1계층
  • 역할 : 여러 LAN 케이블 연결, 단순 집선 장치
  • 특징 :
    트위스트 페어 LAN 케이블 사용, RJ-45 규격으로 연결됨
    기본적으로 포트 수만큼 컴퓨터 연결 가능하지만, 계단식 연결로 확장 가능
    네트워크 규격에 맞는 대응이 필요함 (ex. 1000BASE-T는 스위칭 허브 사용)
    리피터처럼 송신 데이터는 모든 포트로 전송함

6. 스위칭 허브 (Switch)

  • 계층 : OSI 2계층
  • 역할 : 브리지를 멀티포트화한 장치
  • 특징 :
    각 포트에 연결된 기기의 MAC 주소를 기억함
    실제 통신이 발생한 포트만 연결함
    불필요한 패킷 전송을 방지함

7. 게이트웨이 (Gateway)

  • 계층 : OSI 3계층 이상 (주로 3~7계층)
  • 역할 : 서로 다른 네트워크(LAN ↔ 외부) 연결
  • 특징 :
    이기종 네트워크 간 통신 가능
    전용 기기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 가능
    일반적으로 라우터를 가리킴
    디폴트 게이트웨이를 통해 LAN 밖으로 송신되는 패킷을 전달함
    (전자 메일용 게이트웨이 등 특수 용도도 존재)

0개의 댓글